발코니 확장을 했는데 우수관 누수인지 결로인지...
물론 개인이나 가족의 선택 아니면 합의아래 진행되겠지만 광폭 발코니와 거실 혹은 광폭 발코니와 방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조적벽을 허물고 거실이나 방을 확장시키는 인테리어공사를 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 광폭 발코니에는 우수관이 존재하는데 주로 가벽으로 가린후 마무리를 하는 것 같다.
우려가 되는 점은 발코니확장을 하게되면 실외와 실내의 중간정도 기능을 하는 발코니공간이 실내로 변경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우수관에 누수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실내공간에 직격탄을 맞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우수관누수인지 결로인지 애매모호한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다.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이나 추운 겨울철에 말이다. 뭔 소리냐면 우수관을 통해서 찬 빗물이 오랜시간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면 표면에 결로가 생길 수 있고 겨울철 차가운 공기의 이동통로가 되면서 결로수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욕실내부에 있는 변기물탱크표면에서 자주 발생되는 결로현상도 같은 이유인 것이다. 차가운 표면과 높은 습도가 결로의 발생조건이다.
확장전에는 결로가 생기더라도 실내가 아니고 오픈되어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결로가 비교적 무난하게 건조가 될 수 있었겠지만 가벽내부에 가두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건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이니 결로가 생기게 되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면서 바닥재내부로 스며드는 수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장판으로 바닥이 덮여있는 경우라면 오랜기간 동안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발코니확장을 한 후 여름철을 지내면서 방내부에서 퀴퀴한 냄새가 나는 상황이라면 이러한 요인이 그 이유일 수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