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코의 문제발생 이유는...
우리나라의 주택의 외부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타코, 속칭 드라이비트 시공방식에는 크게 두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첫번째는 barrier type EIFS(Exterior Insulation finishing system외단열마감공법)라고 불리우는 방식으로 빗물의 침입과 수분침투에 대비하는 건조 및 공기순환 공간이 없는 방식이고 두번째는 drainage type EIFS방식으로 빗물의 침입과 수분침투에 대비해서 건조 및 공기순환 공간이 존재하는 방식이다. 주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방식이 barrier type이다.
이 barrier type은 빗물의 침입과 수분침투를 예방하는 방법이 주로 스타코가 코팅된 외벽의 표면에 의지하는 시스템이다. 내부에 배수공간이 없다는 것은 정말이지 오랜기간 동안 빗물과 같은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저항 할 수 있도록 꼼꼼한 시공과 특별한 디자인이 요구되는 것이기도 하다. 비록 시공초기에는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꼼꼼한 시공과 견고함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빗물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햇빛, 열, 습도, 바람 등의 자연적인 요소에 의해서 초기에 갖추었던 견고성은 약화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우려가 되는 점은 우리나라의 단독주택에 시공되어진 많은 스타코방식이 이 barrier type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시공방식에서 수분이 주로 침투하는 루트는 주로 외벽의 크랙이나 창문주변 이고, 지붕과 벽이 만나는 교차지점에 킥아웃 플레슁이 없다면 수분침투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또한 이 barrier type 스타코의 단점은 침투한 수분이 오랜기간 동안 벽채내부에 가두어 진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쉽게 구분이 되지 않고 이상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이미 벽채내부가 많이 상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침투된 수분과 벽채내부의 온도는 곰팡이 발생을 촉진하고 내부구조재에 까지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또 한가지 아쉬운 점은 스타코와 다른 재료, 즉 창문이나 문, 트림 등과 만나는 부위에 수축 팽창에 따른 크랙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컨트롤 조인트 공간(1/2~3/4인치)이 띄어진 후 백업재를 놓고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마감되야 하는데 대부분의 현장에는 이 부분이 생략되어지고 있는 듯 하다.
우기라고 불리웠던 긴 장마기간 동안 엄청나게 퍼부어댄 빗물로 많은 주택의 외벽에 부하가 가해진 상태일 것이다. 한번쯤은 관심을 가지고 외벽의 상태를 살펴 볼 필요성이 있다. 즉 겉은 멀쩡해도 속병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