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카테고리 없음

희뿌연 유리창, 원인은...

유맨CPI 2025. 2. 21. 17:26

위 유리창은 유리판 내부에 이슬이 맺힌 모습인데 살짝 크랙이 생긴 모습이다. 아마 이 크랙때문에 유리판의 밀봉상태가 깨지게 되면서 유리판내부로 공기가 침투한 것 같다. 유리판에 크랙이 생기지 않았더라도 안개 낀 유리창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원인은 같다. 유리판내부로 공기가 침투한 것이다. 주로 어느정도 연식이 있는 유리창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유리창교체이지만 요즈음 유리창 교체비용이 저렴함과는 거리가 멀다. 북미나 유럽에서는 이와같은 안개낀 유리창을 전문적으로 보수하는 업체나 업자가 있는 것 같은데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없는 것 같다.

 위 그림은 유리창의 솔라펌핑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낮과 밤 그리고 계절적 온도변화에 의해서 유리판내부의 공기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면서 유리창의 내구성이 약화된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창의 내구연한은 대략 20년정도로 보고 있는데 유리창이 설치된 높이, 위치, 주변환경, 일사, 바람, 온도변화, 제품의 퀄리티, 시공상태, 관리상태 등에 따라서 어느정도 차이는 있는 것 같다. 참고로 유리창의 단열성은 유리판자체가 아니라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에 밀봉된 건조한 공기나 아르곤 혹은 크립톤 가스가 갖는 것이다. 유리판과 유리판의 간격이 일정거리 이상이 되면 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단열성을 잃게 되기 때문에 적정거리를 유지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