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HOME INSPECTION/기타 시공관련 78

속빈 강정이 아니라 속빈 타일

주인장의 개인적인 취향상 거실바닥을 타일류로 뒤덮는 집들도 있긴 하지만 주로 욕실내부를 타일로 두르게 된다. 당연히 욕실내부는 물을 많이 그리고 자주 사용해서 물범벅이 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수분흡수율이 낮은 타일류를 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타일류에도 종류가 많은데 수분흡수율이 비교적 높은 도기류를 시공해서 기대치 않던 수분관련문제가 일어나는 경우도 왕왕 생기곤 한다.주로 명절에 먹곤 하는 강정은 속이 비었다. 원래 강정은 그렇다. 그런데 강정 좋아하시는 분들이 시공을 해서 그런지 속빈 타일도 있다. 속빈 타일을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두드려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속(뒷채움)이 꽉찬 타일은 두드리면 별 다른 소리가 나지 않지만 속빈 타일은 두드리면 스님 목탁두드리는 소리가 난다. 그래서 신축아파트 ..

벽체하단부와 데크

위 사진은 벽체하단부를 따라서 목재데크가 만들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 지은 집이라서 그런지 아주 깔끔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별 문제도 없어보인다. 그런데 이 집은 목조주택이라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좀 더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 위 사진을 통해서 예상할 수 있는 발생가능한 문제점이라면 수분관련문제라고 할 수 있다. 즉 데크가 벽체와 붙어있다는 것이 문제발생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날씨가 비가 내리지 않는 건조가 날씨가 유지된다면 별 문제가 없겠으나 우리나라는 장마철이 존재한다. 그래서 목재데크와 접하고 있는 외벽하단부를 통해서 빗물침투, 부후, 곰팡이, 결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정도의 이격거리가 있는 편이 좋다. 공기순환을 통해서 건조한 상..

목조주택 천장형 에어컨

위 사진은 목조주택 내부의 벽과 천장의 일부모습이다. 주택의 하중을 지지하는 뼈대가 만들어진 것이다. 요즈음에는 실내의 공간활용측면에서 천장형에어컨을 선택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은 것 같은데 목조주택이라면 좀 주의가 필요할 것 같다. 목조주택의 경우에 좀 문제가 될 수 있는 점이 에어컨을 시공하시는 분들은 목조주택의 특성에 대해서 잘 몰라서인지 에어컨 본체와 배관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의 편의성 때문인지는 몰라도 아주 과감하게 뼈대를 잘라내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태가 처음에는 별 문제가 없겠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바닥이 처지는 현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천장형에어컨과 배관에서 결로나 누수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거의 대부분 천장을 뜯어야한다. 석고보드와 벽지로 마감을 해서 육안..

벽돌집의 에어벤트, 윕홀, 윕벤트

실내공기순환의 중요성은 다들 잘 알고 있을 듯 한데 반면에 실내를 보호하고 있는 벽체 공기순환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인식을 못하고 있을 것 같다. 사실 공동주택의 경우보다는 벽체의 구성이 좀 더 복잡한 단독주택의 경우가 주로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주택의 골격이 목조인 경우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당연하게도 목조는 수분에 다소 취약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목조주택 중 외부의 마감을 치장벽돌로 마감한 집들에 주로 해당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이러한 치장벽돌집에 거주하고 있는 주인장이라면 주택의 유지관리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실내의 공기순환상태는 어렵지 않게 체감할 수 있지만 벽체내부의 상태는 알지 못한..

창문고정실링이 없는 제품도 있구만...

창문은 크게 유리판과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리판과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하좌우를 주로 실리콘으로 밀봉처리한다. 물론 시스템창호의 경우는 가스켓으로 고정하는 제품도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인테리어현장에서 그 동안 보지 못했던 제품을 발견했다. 발코니외부창문인데 외부는 실리콘으로 고정을 하는데 내부는 고정재가 없는 제품이다. 현장에서 작업을 하던 인테리어업체 사장님의 표현으로는 새로나온 제품이라고 하던데 혹시 하자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발동을 해서 제품을 생산하는 본사의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확인을 해보니 뷰프레임이라고 하는 제품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위 사진이 보여주듯이 내부 프레임과 유리판의 조인트를 밀봉처리하는 실리콘이 없는 제품이다. 이러한 고정 실리콘이 없는 대신에 프레임내부에 가스켓으..

시멘트, 모르터, 콘크리트, 그라우트

시멘트, 모르터, 콘크리트의 차이점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편이 좋다. 그게 그거라고 생각하다가는 주택문제와 관련해서 후탈이 생기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시멘트는 그냥 포대자루에 담긴 회색빛의 가루다. 원재료에는 일반적인 석회가루 뿐만 아니라 가공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추가적인 첨가재들이 포함된다. 혼화재와 혼합제라고도 하는 액체와 고체물질들이다. 사실 시멘트의 생산과정에서 투입되는 이러한 물질들때문에 환경단체들과 많은 실랑이가 오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모르타르(모르터)는 시멘트가루에 모래가 추가된 짬뽕 가루라고 생각하면 된다. 건재상에서는 시멘트가루와 모래가 뒤썩인 레미탈포대가 판매되고 있다. 한포대가 40kg인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처음 구입을 하게 되면 저렴한 ..

지붕 위에 열선시공을 해야하나?

위 사진은 지붕의 처마끝단에 열선을 깔아놓은 모습이다. 사진을 보고있으면 굳이 아래에 사다리 받쳐놓고 추락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지붕위에 올라가지 않아도 될 것 같고 혹은 지붕위에 올라가는 대신에 아래에서 넉가래를 길게 연장해서 어렵게 지붕위에 쌓인 눈을 치우는 팔뚝강화운동을 하지 않다도 될 것 같다. 그래서 지난번에 내린 폭설을 대비해서 지붕위에 열선시공을 고려하고 있는 주인장들도 있을 것 같다. 최종적인 선택이야 주인장이 알아서 하는 것이지만 지붕 열선시공 전에 좀 알아야 할 것이 있다. 겨울철만을 대비해서 열선시공을 하는 것인데 겨울철이 지나면 열선을 철수시키는 편이 좋다. 방치가 된다면 뜨거운 일사에 의해서 열선의 내구성이 약해져서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내..

포탈프레임은 또 뭐냐?

인터넷포탈사이트는 익숙한 단어다. 인터넷을 연결하면 나오는 네이버나 다음, 구글과 같은 사이트가 대표적이다. 포탈(Portal)이라는 단어의 뜻이 정문, 관문, 통로을 의미한다. 주택의 구조와 관련해서도 자주 쓰이는 단어다. 아주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콘크리트주택은 하중과는 거의 무관하다. 아파트만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그런데 주택의 유형에는 콘크리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친환경적인 이미지의 목조주택도 있는데 아무래도 하중과 관련해서는 좀 약한면이 있다. 거기다가 널다란 거실창과 높은 천장 그리고 2층이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목조주택이라면 안전과 관련된 하중을 무시하면 안되는데 생각보다 바닥이 처지거나 창문틀이 기운 집들이 적지않다. 현장에서는 목조주택의 특성이라고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경우도 ..

목재포스트 하단부 부식

위 사진은 나무기둥 하단부가 부식된 모습이다. 토양과의 접촉을 예방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기초석 위에 나무기둥을 세웠는데 이모양이다.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것이 콘크리트의 특성이다. 콘크리트를 방수나 방습재료로 여긴다는 것이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미세한 구성이 많은 다공성재료이기 때문에 수분을 흡수한다. 거기다가 우리나라는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이 존재하기 때문에 나무기둥과 콘크리트 기초석 사이를 이격시켜주는 간격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위 사진들은 콘크리트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켜주는 포스트 앙카의 모습이다. 이런식이어야 목재기둥의 하단부가 부식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왼쪽 제품이 좀 더 나을 것 같다. 노출된 면이 넓기 때문에 공기순환이 원활해서 잘..

석재를 이용해서 테크를 만들었는데...

현무암이 주는 질감이 좋아서 선택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이 현무암석판을 바닥에 깔아서 데크를 만들었다. 위 사진을 보면 알수 있듯이 바닥이 일부 젖어 있고 녹색의 이끼도 낀 모습도 보인다. 수분을 머금고 있다는 증거다. 중요한 점은 이 현무암 석판이 외벽과 연결이 되어있다는 점이다. 외벽과 연결되었다는 것은 수분의 이동통로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에 현무암석판의 내부로 스며든 빗물이 모세관작용에 의해서 옆으로 스며들게 되는 수순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석판들이 다공성재료이긴 하지만 특히 현무암은 흡수율이 높은 재료다. 설상가상으로 대상주택의 1층바닥은 현무암석판보다 낮은 상태여서 외벽과 접하고 있는 내부하단부 테두리를 따라서 곰팡이가 피게 된 것이다. 주택의 기초주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