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BUILDING SCIENCE/기본원리

외벽누수가 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유맨CPI 2024. 3. 22. 17:00

주택의 지붕과 물을 많이 사용하는 공간은 기본적으로 방수시공을 한다. 지붕은 방수포로 덮고 욕실같은 경우는 타일로 덮어놓아서 그렇지 그 아랫면에는 시커먼 역청질의 아스팥 재질인 고뫄스나 방수시트 혹은 액방(액체방수)이라고 해서 방수액과 시멘트가루를 혼합한 후 칠해서 골조표면을 보호한다. 모체격에 해당하는 골조를 보호한다고 해서 방수층이라는고도 표현한다. 빗물이나 생활용수를 직접적으로 많이 접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누수문제예방차원에서 제일 신경을 쓰는 곳들이다.

 

반면에 주택의 외벽은 신경을 덜 쓰는 경향이 짙다. 아마 빗물이 중력에 의해서 아랫방향만으로 흘러내린다고 생각을 해서 그런것 같다. 그런데 사실 이러한 주택의 외벽을 통해서 누수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기후가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이 존재하는 것이 주된 요인이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외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던 길다란 처마가 없어지거나 아주 짧아진 근래 주택의 디자인적인 트렌드도 무시하지 못할 것 같다. 없어지거나 아주 짧아진 처마의 길이때문에 빗물에 노출되는 양이 늘 수 밖에 없는 조건이 조성되었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외벽에는 넓직한 창문 뿐만 아니라 실내생활의 편의를 위해서 뚫어놓은 의도된 구멍들이 있다. 또한 의도되지는 않았지만 외기의 영향으로 인해서 생긴 미세한 크랙과 틈새들이 존재한다. 그래서 의도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이러한 크랙, 틈새, 구멍들을 통해서 빗물이 외벽체를 통과할 수 있고 심지어는 실내에 까지 침투하게 되는 누수의 연결통로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외벽누수가 생기는 경우도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뭔 소리냐면 주택이 위치하고 있는 주위환경, 높이, 바람의 영향, 빗물량, 외피의 종류, 틈새의 크기 등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내리는 빗물의 양이 적고 바람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벽누수의 발생가능성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외벽을 통한 누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내리는 빗물의 양도 많아야겠지만 빗물을 외벽의 틈새내부로 강하게 밀어주는 힘이 필요하다. 주로 강한 바람의 힘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래서 외벽에 미세한 틈새가 있는 조건이라도 상황에 따라서 실내누수가 생기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외벽을 통한 실내누수가 발생한 경우 그 양이 많은 경우라면 바로 구분이 가능하지만 육안으로는 누수여부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은데 이 외벽의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침투한 빗물은 아랫방향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걸레받이나 벽지표면의 변색, 부풀어 오름, 곰팡이 발생 정도로 누수문제의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비가 내리지는 않지만 일교차가 큰 건조한 계절에 이러한 징후가 보였다면 누수문제라기 보다는 결로의 가능성이 크다. 좀 더 전문적인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수분측정기와 열화상카메라의 사용이 도움이 되지만 구입비용이 적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