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스한 습기가 차가운 면과 만나서 물방울 형상을 이루는 것을 결로라고 한다. 결로에는 우리 눈에 비교적 쉽게 보이는 외부결로와 벽체 안에서 발생해서 눈에 쉽게 보이지 않는 내부 결로로 나뉜다. 더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눈에 잘 보이지 않는 내부결로에 있다. 외부에서 보면 별다른 이상없이 멀쩡한 듯 한 벽체내부가 실제로는 곯아가고 있을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내부결로를 유발시키는 습기이동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필요한 이유이다.
만약 어떤 기후에서든 습기의 자유로운 이동이 제한을 받지 않는다면 습기는 주택의 차가운 면을 목적지로 정해서 벽체를 통과하면서 여행을 떠난다. 이 여행 중인 습기가 차가운 면과 접촉을 하게되면 액체로 응결될 수 있고 결국 거주자의 건강과 구조재의 내구성에 까지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주택의 건축재료를 고려할때 우리는 재료의 투습력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투습력이란 습기가 재료를 통과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그래서 건축가와 빌더, 관련 기술자들뿐만 아니라 주인장들도 집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건축재료들과 관련이 있는 투습력과 비투습력을 이해하기 위해서 습기의 이동원리에 대한 학습과 이해하는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습기는 주택의 따스하고 습한 면에서 차갑고 건조한 면을 향해서 건축재료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확산된다. 이 습기의 이동을 일으키는 원인은 열과 수분이다. 여름철 동안 많은 가정에서는 에어컨을 작동시키고 외부의 습기는 내부로 향한다. 반면에 겨울철 동안 내부의 습기는 외부로 향한다. 이러한 습기의 이동은 가정에서 수분문제를 일으키는 요인 중 그다지 대수롭지 않게 여겨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아주 중요하다. 습기가 벽체를 통과하고 이슬점 이하의 온도를 가진 차가운 면과 만나게 되면 나무가 상하기 시작하고 곰팡이에게 먹이가 되는 상황이 초래되는 것이다.
벽체안에서 내부결로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집 내부의 따스한 면에 방습지(vapor retarder)를 시공하면 습기침투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집의 차가운 면에 비교적 투습력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서 벽체 내부의 습기가 건조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도 있다. 또한 외단열을 추가함으로써 외벽의 온도를 이슬점 이상으로 유지시켜서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도 있는 것이다.
'BUILDING SCIENCE > 빌딩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실 - 고질적인 습기문제의 해결책은? (0) | 2020.06.30 |
---|---|
장마철 주택에는 이상이 없는지요? (0) | 2020.06.29 |
건물은 시스템이다. (0) | 2020.06.22 |
왜 우리는 북미와 유럽의 여러나라의 사례와 연구로 부터 배워야 하는가? (0) | 2020.06.19 |
외벽과 누수 (0) | 2020.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