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콜드조인트누수 2

콜드조인트를 통한 누수의 가능성

위 사진은 지은지 30년 정도가 지나고 있는 아파트 외벽의 모습이다. 아파트의 속살에 해당하는 콘크리트외벽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페인트의 일부가 벗겨져 있는 상태다. 아랫부분은 비교적 양호한데 상단 부분만 벗겨진 이유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불어오는 바람이 외벽을 만나서 급격하게 방향을 바꾸게 되기 때문이다. 급격하게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되니 당연히 압력을 더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창문주변의 색깔이 다르다. 아마 창문주변코킹제의 열화로 인해서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서 창문코킹제의 재시공 뿐만 아니라 일부 크랙부분을 도막방수도 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아파트 창문의 누수방지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코킹제는 사실 방수제가 아닌데 단지 시공..

누수의 통로가 될 수 있는 조인트

조인트, 영단어로는 Joint, 사전적인 의미로는 접합부, 연결부, 관절 정도의 의미로 표현되고 있는 듯 하다. 주택은 구조상 수많은 이러한 조인트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즉 가로축과 세로축이 만나게 되는 모든 부분에는 이러한 연결부위가 생길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요근래 지어지고 있는 주택들의 외관을 보면 단순하지가 않다. 이렇게 단순하지 않은 외관 디자인은 이러한 조인트들을 더욱 만들게 되는 것이다. 우려가 되는 점은 바로 이러한 조인트들이 누수의 주요한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집을 지을 때 시공상의 조건과 필요에 따라서 이어치기를 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생기곤 하는데 특히 경화가 시작된 이후에 콘크리트를 이어서 타설해서 생기는 불연속적인 접합면을 콜드조인트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