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사이언스는 새롭게 만들어진 학문분야가 아니라 기존 건축계에서 등한시했던 건축의 과학적인 측면을 다루는 학문이다. 지금까지의 현대 건축이 겉으로 보이는 미적인 디자인에 치중하면서 손을 놓고 있었던 집의 내면적인 기능, 즉 집이 기본적인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적인 원리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지금부터 불과 100여년전만 해도 건축계의 장인들은 건물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고, 그래서 집의 구조뿐만 아니라 그 집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과학적인 작용 원리에 대해서도 경험을 통해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의 건축학은 집이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보다는 미적인 측면, 즉 디자인에 너무 치중해 왔다. 그 과정에서 잃어버렸던 것들을 다시 되살린 것이 빌딩사이언스라는 이야기이다.
빌딩 사이언스는 어떠한 외부 환경에서도 인간에게 쾌적한 거주 여건을 만들어내기 위한 노력이며, 같은 비용으로 지은 주택이라도 더 나은 성능과 내구성을 가지도록 만들기 위한 기본원칙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빌딩사이언스는 기후 등 주변 환경과 건물, 그리고 그 건물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활환경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상호작용 및 그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간단히 정의하자면 빌딩사이언스는 현대 건축에서 간과해왔던 건물의 과학적인 기본원리에 대한 연구 분야이며 우리에게 효율적이고 내구성이 있는 쾌적한 거주환경을 만들어 내기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들과 생각의 틀을 제공해 준다.
'BUILDING SCIENCE > 빌딩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돌집이 습기에 대한 저장능력은 좋지만... (0) | 2020.08.11 |
---|---|
물은 집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멀리 (2) | 2020.07.20 |
건물에서 수분이 이동하는 7가지 방식 및 대응방안 (0) | 2020.07.07 |
조인트를 통한 수분침투 (0) | 2020.07.03 |
물의 침투에 대한 이해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