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부터 지하공간에 대한 수분관리 시공을 하였든지 아니면 특별하게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하지 않는 한 지하실은 습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지상이 아니고 주변이 토양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생각해보자. 빗물이 어디로 흘러가는지를 말이다. 이렇게 수분을 머금고 있는 주변의 토양으로 부터 지속적으로 지하공간의 외벽과 바닥부분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내구성의 대명사격인 이 콘크리트도 지속적으로 수분의 영향을 받으면 누수의 통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거기다가 콘크리트는 태생적으로 건조수축되면서 크랙이 생긴다. 그리고 작은 공극들이 있다. 지하공간에서 수압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경우라면 이 크랙과 공극들이 연결되어서 비교적 쉽게 누수의 통로가 될 수 도 있는 것이다. 수압이 적더라도 포화상태인 주변의 토양에 의해서 수분이 외벽으로 흡수된다. 그래서 지하공간이 있는 집을 짓는 경우라면 이 지하공간 외벽에 대한 방수시공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이 지하공간에 대한 수분관리 시공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주인장들도 별다른 생각없이 거주하다가 지하공간에서 수분문제가 발생을 하면 그제서야 심각성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지하공간이나 지하주차장에 수분문제가 발생을 한다면 우선적으로 지하공간 주변의 환경을 한 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변토양의 경사도가 혹시 역구배되어서 지하공간으로 수분이 모이지는 것은 않는지 아니면 우수관의 끝부분이 외부로 멀리 향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에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말이다. 이런 상황에 해당된다면 간단한 조치로 피해상황을 좀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방수의 기본은 밖방수다. 수분이 아예 처음부터 건물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외부에서 차단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시공상의 어려움과 방수의 기본원리를 간과해서 지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완공된 후에 생활하다가 이러한 수분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하공간이나 지하주차장의 수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방수제나 발수제를 열심히 내부벽면에 바르지만 기대하는 효과와는 거리가 멀다. 얼마못가서 수분문제가 재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미 벽채가 수분에 노출된 축축한 상태이기때문에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이고 수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형빌딩이나 아파트 단지의 지하주차장의 경우에는 이중벽을 만들어서 건조와 환기공간으로 활용을 하는 경우가 있다. 수분의 침투를 원천하단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아예 기존벽 앞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벽을 하나 더 만들고 상단과 하단에 환기구를 만들어서 뒷공간을 대류작용에 의해서 건조시킨다는 것이다. 벽체의 하단부에는 배수구멍을 만들고 배수로와 집수정을 만들어서 수분을 비교적 원활하게 배출시킨다는 것이다.
위 사진은 DIY 주택관리법으로 활용도가 높은 패밀리 핸디맨 사이트에서 캡처한 사진이다. 주차장과 같은 지하공간에 참고하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듯 하다.
'BUILDING SCIENCE > 기본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로발생의 이해 (0) | 2021.01.05 |
---|---|
단열선이란 (0) | 2020.12.30 |
집과 열의 이동원리 (0) | 2020.12.24 |
목조 주택의 기본은 원활한 공기의 순환! (0) | 2020.11.09 |
빗물에 의한 누수와 결로 방지를 위한 배수면(Drainage plane)의 이해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