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레인스크린 7

벽체는 공기순환과 건조가 원활해야 한다.

북미에서는 건축물의 하자발생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이미 오래전부터 연구해오고 있는 학문을 빌딩사이언스라고 호칭하고 있고 유럽에서는 건축물리나 건축역학 정도로 부르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오랜기간의 연구경험과 실제사례들을 통한 원인분석을 통해서 건축물의 하자와 관련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지금 이 시간에도 관련된 연구는 현재진행형이다. 주택의 실제 하자사례와 관련연구를 통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된 것이 바로 주택의 외피를 담당하고 있는 벽체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벽체의 내구성을 오랜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로 벽체는 공기순환과 건조가 원활해야 한다는 것이다. 레인스크린(Rainscreen)이라고 호칭하고 있는 벽체의 구성방법도 바로 이러한 배경을 통해서 탄생하게 된 것이다.  굳이 ..

시멘트 사이딩과 비닐사이딩

근래에 새로 지었거나 새로 지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외부 최종마감재는 사이딩이 아닌 경우가 많다. 스타코, 세라믹과 징크를 거쳐서 요즈음에는 벽돌로 외부를 꾸미고 있는 집들이 많이 보인다. 물론 몇가지 재료들이 병용되어서 꾸며진 집들도 있다. 우리나라 건축현장의 특징이다. 트렌드에 민감하다는 것이다. 남들이 해서 좀 괜찮다싶으면 주변에서 많이 따라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비닐사이딩과 시멘트사이딩은 거의 찬밥신세나 마찬가지다. 주로 농막위주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좀 싼티가 난다는 것이다. 사실 다른 재질의 외부치장재보다는 가격면에서 저렴하다. 그런데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은 것이 이 두 종류의 사이딩들이다. 소위 가성비를 고려하고 있다면 이 두가지 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는 ..

목조주택을 짓고 싶다면 목조주택의 기본을 알자!

콘크리트 집에 비해서 나무가 주는 친환경적이라는 이미지와 여러가지 장점들 때문에 목조주택으로의 이주를 위해서 목조주택을 새로 짓고 있거나 아니면 기존의 목조주택을 구입할 수 도 있는 경우가 있다. 중요한 것은 새로 목조주택을 짓든지 구옥을 구입하든지 목조주택의 특성에 대해서 잘 알아야 나중에 후회가 적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싸고 좋은 집은 거의 없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목조주택의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인근지역 인테리어 업자나 시공업자를 통한 목조주택짓기는 좀 자제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주택검사를 하면서 엉터리로 지은 집들을 많이 보아온 경험에서 우러나온 말이다. 하자가 많은 집들은 기본적인 공통점이 있는데 그 첫번째 공통점이 저렴한 건축비란 것이다. 그..

오픈 조인트 레인스크린

요즈음 주택들의 외벽은 사이딩, 벽돌이나 세라믹과 같은 외부 치장재, 단열재, 방습지, 골조, 석고보드, 벽지 등으로 구성되어있는 다층구조다. 그래서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정말이지 오랜기간 동안 별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 같지 않을 정도로 내구력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 그렇지만 우리의 일반적인 바람과는 달리 외벽은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어있는 조건이기 때문에 초기에 기대했던 내구력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햇빛, 비, 바람, 열, 습도, 오염물질, 먼지 등의 자연환경과 외부환경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아서 재료자체의 성질이 약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택의 내구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자연환경과 외부환경 요소 중 특히 주택하자의 대부분을 유발시키고 있는 요소가 수분관련..

기초와 지면과의 이격거리는?

특별한 것은 없어 보이는 위 그림 하나가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기초와 외벽시스템 그리고 배수까지 이 한장의 그림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시공을 해야 수분관련 피해를 최소화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고 말이다. 우선적으로 기초의 끝선과 토대목 그리고 장선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 다음에 합판이 아래로 1인치정도 내려와서 덮어지고 있다. 그이유는 당연히 기초와 토대목 사이로 수분과 공기의 침투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아쉬운 점은 기초와 토대목 사이에 실 실러(Sill sealer)가를 보이지 않는다면 점이다. 그 다음에 합판 하단부에 플레슁이 시공된다. 그리고 방습지가 시공되고 거기다가 배수공간의 확보와 공기순환 그리고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배수매트가 시공된다. 모두 외장재를..

고벽돌로 치장한 판넬하우스

몇년전부터 주택의 내외장재 뿐만 아니라로 까페, 주점, 사무실, 샵 등 상업용 건물의 인테리어 재료로 다양한 벽돌들이 활용되고 있는 모습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파벽돌, 고벽돌, 적별돌, 황토벽돌 등 벽돌의 종류도 다양한 듯 하다. 이렇듯 다양한 재질과 컬러로 꾸며진 주택이나 건물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꽤 그렇싸하게 보이는 것 같다. 물론 개인적인 취향과 견해차이는 있겠지만 말이다. 그중에서 클래식한 것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고벽돌로 외벽을 치장하는 것 같다.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고 하는데 예전에는 벽돌과 벽돌을 붙이는 접착력이 약해서 주택해체 작업시 벽돌의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할 수 있기때문이라고 한다. 우려가 되는 점은 이 고벽돌이 주택의 외벽을 치장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되..

레인 스크린(Rain screen) 이란?

레인 스크린(Rain screen) system? 우리나라에서는 그냥 레인 스크린 공법이나 외벽 통기공법 정도로 불리우고 있는 외벽시스템이다. 외부 마감재와 벽구조재 사이에 어느 정도(3/8인치)의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외부 마감재 레인 스크린(Rain screen), 공간 안쪽의 방수층에 의해 보호되는 배수면 드레이니지 플레인(Drainage plain), 배수공간 드레이니지 갭/스페이스(Drainage gap/space), 수분이 흘러 나가도록 하는 작은 틈새 드레이니지 오프닝(Drainage opening), 수분(빗물) 흘림판 플레슁(Flashing)으로 구성된다. 이 공법의 장점을 들자면 이 공간은 마감재를 통과한 수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이 공간은 외벽 구성재와 마감재를 빠르게 마르게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