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은 가장 손 쉬운 방법으로 가장 저항이 적은 통로를 찾아서 난방되어 있는 공간에서 차가운 외부로 흐른다. 열교현상은 가정내에서 가장 중요한 열손실 원인이 되는 것이다. 적절하지 못한 단열성 강화는 열교현상으로 인한 열손실을 더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은 가정내 에너지소비 비용에서 중요한 지출요인이 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은 열화상 이미지로 촬영한 사진으로 열교현상에 의해서 발생한 열손실을 시각화해서 보여주고 있다. 빨간색들이 열교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열교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열손실의 증가로 인해서 실내표면온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표면온도가 주어진 한계점 아래로 떨어지면 곰팡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만약 그 온도가 이슬점 아래로 떨어진다면 해당 방의 공기 중 습기증가의 모습은 이슬방울의 형태로 차가운 표면위에 결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결로와 곰팡이의 발생은 실내공기질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적절하게 환기를 하지 않으면 높은 습기농도로 인해서 더 많은 곰팡이와 결로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열교현상으로 일단 곰팡이가 형성되면 그 해당 지역이나 방에 곰팡이 포자를 발산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곰팡이 포자는 천식증상과 눈의 따가움 등과 같은 사소한 알레르기 반응을 포함해서 다양한 건강관련 문제를 야기할 수 도 있는데 곰팡이 포자는 천식, 부비동염, 비염 등의 알레르기 인자이기 때문이다. 실내에서 이러한 곰팡이 포자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한다면 만성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다시 정리를 하자면 부적절한 공사로 인해서 발생한 열교현상과 원활하지 못한 환기는 에너지소비측면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실내습도의 증가를 가져와서 주택자체의 내구성 저하와 거주자들의 건강에 많은 부정적인 요인을 발생 시킬 수 있다.
'BUILDING SCIENCE > 빌딩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의 습기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0) | 2020.04.15 |
---|---|
집은 살아있다! (0) | 2020.04.13 |
모멘텀(Momentum) (0) | 2020.03.30 |
비용대비 에너지효율성을 고려한다면... (0) | 2020.03.27 |
동상현상(Frost heave) & 연화현상(Frost boil) (0) | 2020.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