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BUILDING SCIENCE/재료의 특성

치장벽돌집은 어때요?

유맨CPI 2020. 7. 23. 10:07

 

 

치장벽돌은 전통적인 벽돌집이 가지고 있는 클래식한 외관의 모습을 벽돌집에 비해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대체할 수 있어서 요즈음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치장벽돌의 종류도 생각보다 많아서 선택의 폭도 넓은 것 같다. 주인장들의 입장에서는 행복한 고민이 될 것 같다. 그러나 동전에도 양면이 있듯이 치장벽돌집에 대해서도 조금은 재고할 부분이 있는 것이다. 

 

위 그림은 치장벽돌 벽의 해부도이다. 치장벽돌로 외벽을 구성하려면 위 그림과 같은 재료와 형식으로 비슷하게 만들어져야 외벽의 수분침투로 인한 하자 발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 그림은 뼈대가 목조로 구성된 목조주택이지만 다른 형식의 주택도 기본원리는 같은 것이다. 외벽을 통과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벽의 가장 아래에 프래슁이 있어야 하고 침투한 수분이 잘 건조 될 수 있도록 치장벽돌 뒤에 적어도 1인치정도 이상의 공기순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치장벽돌 하단 중간 중간에 윕홀(weep hole)이라는 빗물배출구멍을 만들어야 한다. 모르타르 네트(mortar net)는 모르타르가 떨어져서 윕홀을 막는 것을 예방해서 공기의 원활한 순활을 돕는 재료이다.

 

동반자인 바람과 함께하는 빗물이 벽돌 벽이나 치장벽돌 벽을 통과하는 방법은 벽돌 자체와 벽돌사이의 크랙이나 모르타르를 통해서다. 콘크리트도 마찬가지다. 또한 모든 건축재료는 수축과 팽창을 한다. 일사와 비 그리고 바람의 영향의 크고 일교차가 큰 극심한 외부환경에 노출된 경우라면 그 정도가 큰 것이다. 우려가 되는 점은 주변에서 시공되어지고 있는 많은 치장벽돌 집들이 위 그림처럼 적절하게 시공이 되었는지다. 그렇지 못하다면 외벽의 수분침투로 인해서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을 초래할 가능성이 짙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