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집을 선택할 때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단열성이다. 각 유형별 집과 건축재료의 특성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열성의 중요성만은 기본적으로 잘 알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주택에 있어서 단열성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다.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황소바람이 부는 추운 겨울철의 경우만을 생각해서 그런지 단열성하면 겨울철에만 해당하는 줄 알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듯 한데 단열성은 겨울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역시 중요하다.
열은 기본적으로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을 한다. 즉 여름철에는 외부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실내로 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실내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외부로 향해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단열을 하지 않으면 어느순간 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가 같아져서 결국 실내와 실외가 거의 흡사한 환경이 되는 것이다. 무더운 여름철 에어컨을 가동하면서 시원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나 추운 겨울철 보일러를 작동시키면서 따스한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바로 단열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이 단열재도 성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열을 끊는다는 의미의 단열보다는 시간을 좀 지연시킨다는 지연재라는 표현이 좀 더 사실에 가까울 듯 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외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더운 경우에 실내를 시원하게 해 줄 에어컨 등이 없으면 금방 실내도 찜통수준이 되버리기 쉽상이고 반대로 외부가 지나치게 추운 경우에 실내를 따스하게 해줄 보일러 등의 작동이 불가능 하다거나 없다면 덜덜덜 떨기는 마찮가지이기 때문이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주택에 있어서 이 단열성이 가장 중요할 듯 한데 이 단열성이 기대하는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단짝인 기밀성과 반드시 동행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라면 외부로 줄줄줄 에너지원들이 빠져나가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주택의 에너지 효율성을 따질 때 반드시 단열성과 기밀성이 기본 조건이 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BUILDING SCIENCE > 기본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시스템 - 열, 공기, 수분의 이동과 태양의 복사 (0) | 2022.02.16 |
---|---|
누수문제...역시 기본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0) | 2022.01.27 |
연돌효과, 틈새를 막아라! (0) | 2021.11.24 |
열교현상의 개념 정도는 알고있는 편이... (0) | 2021.11.18 |
수분관리의 핵심은 적절한 균형...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