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에서의 수분관리를 할 포인트를 크게 나누자면 외부와 내부로 구분을 할 수 있을 듯 하다. 내부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는 내부에 연결된 각종 배관누수나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곳인 욕실바닥과 내벽체의 문제가 가장 골치아픈 문제에 해당할 듯 하고 실내생활을 하면서 너무나도 일상적인 행동들이어서 사람들이 잘 인식하지 못하는 내부습기축적으로 인한 문제가 그 뒤를 이을 듯 하다. 사실 실내생활에서 발생되고 있는 내부의 습기문제는 관심만 가지고 환기만 적절하게 시킨다면 실내생활에 심각하게 지장을 초래할 정도는 아닐 듯 하다는 것이다. 공동주택의 경우라면 아랫집과 윗집이 구조상 슬라브와 외벽을 연결되어 있는 구조여서 단독주택의 경우와는 사뭇 다를 수 있겠지만 말이다.
주택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은 다름아닌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붕이나 평지붕 옥상이 이에 해당할 듯 한데 장마철 억수같이 쏟아져내리는 빗물에 무방비로 노출이 된다면 한마디로 아비규환 그자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택시공에서 기본적으로 가장 신경을 많이 쓰는 곳이 지붕이나 평지붕 옥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지붕이나 옥상의 아성에 가려져서 그런지 관심을 덜 받고 있는 곳이 있다. 다름아닌 외벽이다. 요즈음에는 디자인적인 트렌드때문에 외벽이 쏟아져내리는 빗물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고 있는 상황이다. 즉 처마가 생략되었거나 있더라도 아주 짧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니 외벽체는 빗물과 일사에 거의 무방비로 노출이 되어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란 것이다. 처마라도 길었다면 어느정도 보호를 받을 수 있었을텐데 말이다.
더욱 우려가 되는 점은 수분에 대한 저항능력과 저장능력이 다소 부족한 목조주택의 외벽이다. 특히 스타코나 벽돌로 외벽을 마감한 조건이라면 좀 더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왜나하면 빗물은 미세한 틈새만 있어도 내부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침투조력자에 해당하는 일사와 바람의 도움도 받고 말이다. 벽체내부로 침투한 양이 미세하고 잘 건조가 되는 조건이라면 별 문제가 없을 듯 하지만 침투한 양이 많고 건조가 되지 못하는 조건으로 내부에 가두어지게 되면 목재의 성질이 변하기 때문이다. 아주 "푹" 젖은 조건으로 방치가 된다면 곰팡이의 단계를 벗어나서 부후균의 득세로 재료자체가 가지고 있는 강성을 무너뜨린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라면 주택의 연식과는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콘크리트 주택이라도 방심을 하면 안된다. 콘크리트주택의 실제 골격을 이루어 있는 재료는 철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철근 역시 빗물에 노출이 되는 조건으로 오랜기간 방치가 된다면 부식이 되면서 가지고 있는 강성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철근에 붙어있던 콘크리트 역시 탄산화작용에 의해서 알칼리성을 잃게 되면서 약화될 수 밖에 없고 말이다.
'BUILDING SCIENCE > 주택유형별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조주택인데 버섯이 자라고 있는 경우라면... (0) | 2023.02.14 |
---|---|
콘크리트 집이 무조건 최고라고 생각하신다면... (0) | 2023.02.09 |
목조주택의 높은 천장이 보기에는 좋을 듯 한데... (0) | 2023.01.30 |
정원을 꾸밀때는 적어도... (0) | 2023.01.12 |
단독주택에서 다시 아파트로 리턴을...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