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서는 2차장마라고 하더니만 멀쩡하던 하늘빛이 갑자기 먹구름으로 뒤덮이더니 단시간에 엄청난 양의 빗물을 퍼붓고 마치 언제 그랬냐는 식으로 하늘이 맑아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흡사 열대지방의 집중호우인 스콜과 비교가 되는 것 같다. 이러한 단시간의 엄청난 양의 빗물이 퍼붓는 조건이라면 지난 장마기간동안 누수피해가 없었던 집들에서도 누수문제가 생길 수 있을 것 같다.
평지붕 옥상의 파라펫 상단을 덮고 있는 재료중 석재류를 이용한 것을 두겁석이라고 부르는데 적절하지 못한 시공으로 누수를 부르는 경우가 종종 생기고 있는 것 같다. 적절하지 못한 시공이란 두겁석하단과 파라펫 상단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많고 두겁석의 경사각이 내부로 향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해당할 듯 하고 두겁석에 물끊기가 없는 경우 역시 적절하지 못한 시공에 해당할 듯 하다는 것이다.
두겁석 끝단에 물끊기홈이 없는 조건이라면 두겁석 상단을 통해서 흐르게 되는 빗물이 중력에 의해서 원활하게 외부로 흐르게되겠지만 일부는 표면장력에 의해서 하단표면에 수막을 형성하고 있다가 바람이 강하게 불게되면 추진력을 얻게 되면서 두겁석하단과 파라펫 상단의 연결부위의 밀봉처리가 꼼꼼하지 못한 틈새를 통해서 외벽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수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두겁석의 경사각이 내부가 아닌 외부로 향하게 된 조건이라면 벽면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수막을 형성하게 되는 빗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외벽과 창문을 통한 빗물의 침투가능성을 더욱 높이게 될 뿐만 아니라 외벽표면에 달라붙어 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씻기는 작용도 함께 하기 때문에 깨끗한 물청소가 되기는 커녕 오히려 얼룩덜룩 미관상 좋지 못한 씻김자국을 남기게 되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옥상의 파라펫상단을 두겁석으로 마무리한 경우라면 주택의 유지관리와 누수예방차원에서 주기적인 점검이 도움이 될 듯 하다는 것이다.
'BUILDING SCIENCE > 재료의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현상의 또다른 변형, 도시형 종유석(Calthemite) (0) | 2024.01.16 |
---|---|
아파트 콘크리트축대 표면박락... (0) | 2023.09.30 |
벽지교체 후 이사왔더니 벽지가 부분적으로 젖네요... (0) | 2023.08.21 |
평지붕 옥상방수와 치장벽돌 발수제 (0) | 2023.08.01 |
노출된 철근은...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