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견해로는 주택에 수분과 관련된 문제만 없다면 거주하는데 별다른 지장은 없을 듯 하다. 물론 나이, 성별, 신체적 특성으로 인해서 유달리 추위를 느끼시는 분들도 있을텐데 사실 옷 좀 더 껴입으면 그럭저럭 해결될 듯 하고 이것으로도 부족하면 난방용품이나 보일러를 작동시키면 추위문제와는 작별의 정을 나눌 듯 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주택에서 수분과 관련된 문제 중 특히 외벽이나 천장에서 물이 줄줄줄 흘러내래는 누수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실내생활에 많은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 이런상황이 오랜기간 방치가 되면 코를 찌르는 곰팡이 냄새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거의 거주불가수준까지 이르게 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외벽의 최종마감재를 석재로 마무리한 집들도 적지 않은 듯 한데 석재로 외벽마감을 했다고해서 너무 방심을 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석재는 다공성재료이기 때문이다. 물론 석재류에도 종류가 많고 제조방법이나 입자의 특성에 따라서 수분흡수율에 어느정도 차이는 있지만 다공성재료라는 석재의 특성과 연결부분을 통해서 빗물은 바람, 표면장력, 모세관작용 등의 추동력과 연합하면서 서서히 벽체내부로 침투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석재로 외벽을 마감한 경우에도 치장벽돌외벽구성과 마찬가지로 비록 빗물이 벽체내부로 침투하더라도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이 될 수 있는 구조로 시공을 하는 편이 주택의 유지관리측면에서 적절할 듯 하다는 것이다. 즉 벽체는 빗물이 침투하더라도 최하단부로 배출이 될 수 있도록 윕홀(weel hole)과 같은 배수구가 있는 편이 좋고 벽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에어벤트가 있어서 원활한 공기순환으로 벽체내부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편이 좋다는 것이다.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벽체를 통과한 빗물이 벽체하단부에 고이게 되는 마치 물을 담아놓은 수조와 같은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에 결국 벽체하단부를 통해서 내부로 스며들게 되는 수순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BUILDING SCIENCE > 기본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축주택인데 단열재가.... (1) | 2023.10.23 |
---|---|
목조주택시공은 디데일(detail)이 필요한데... (1) | 2023.10.17 |
대기가 건조한 가을철이 돌아오긴 한 것 같은데... (0) | 2023.10.03 |
필로티하단부의 모세관현상 (0) | 2023.10.02 |
겨울철 대비 단열보강공사 예정이라면... (1)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