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단독주택 중 외벽을 스타코로 마감을 한 집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단독주택의 외벽마감은 거의 대부분이 이 스타코로 꾸며졌는데 지금의 상황은 최전성기는 지난 듯 보인다.
그런데 단독주택업계에서 의미하는 스타코는 사실 오리지널 스타코가 아니라 외단열마감재를 의미하는 인공스타코다. 그래서 북미에서는 오리지널 스타코와 구분해서 인공스타코(synthetic stucco)라고 호칭하고 있다. 스타코의 제조사로 유명한 드라이비트사의 이름을 따서 드라이비트 혹은 드라이비트 스타코라고도 부르곤 한다.
문제가 되는 점은 이 인공스타코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크랙이 가는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크랙이 가는 특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탄성을 강화한 스타코플렉스라는 제품도 생산되고 있는데 제조사의 주장과는 달리 이렇다할 큰 차이는 없는 듯 하다. 오히려 강화된 탄력성으로 인해서 내부에 침투한 수분의 배출과 건조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듯한 현장의 모습도 종종 볼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외벽에 난 크랙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 시공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황이라면 시공사에 의뢰해서 CS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듯 한데 반면에 집을 지은 지 몇년 정도가 더 지난 경우라면 시공사와 연락이 안될 수 도 있을 듯 하고 크랙이 많지 않거나 조그마한 크기정도라면 DIY로 마무리 지을 생각을 품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업체를 통해서 보수를 받든지 본인이 직접 보수를 하든지간에 중요한 점은 바탕면의 건강상태다. 특히 수분에 취약한 목조주택이라면 더욱 바탕면의 건강상태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스타코로 마무리 된 외벽은 외부에서 보면 별다른 문제가 없어보인다는 특성이 있다. 미세한 크랙 정도라면 외부에서 볼때는 쉽게 눈에 뜨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한데 우려가 되는 점은 이러한 미세한 크랙이라도 누수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수분이 벽체내부로 침투하더라도 잘 건조가 되는 조건이라면 별다른 문제의 발생가능성이 적을 듯 한데 아쉽게도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스타코외벽은 수분배출을 고려하지 않은 Barrier 타입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이 Barrier 타입의 특성은 수분이 벽체내부로 침투하게 되면 건조가 되지 못하고 갇혀지게 되는 조건이 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바탕재가 상하게 될 수 도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크랙보수를 하기전에 바탕면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인 스타코검사를 통한 적절한 진단과정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HOME INSPECTION > 스타코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코 버켓(stucco bucket)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0) | 2022.08.30 |
---|---|
스타코 버켓(stucco bucket)? (0) | 2022.07.07 |
EIFS, 드라이비트 스타코검사가 필요한 이유... (0) | 2021.09.08 |
스톤베니어 월 주택검사 (0) | 2021.09.06 |
스타코 검사(Stucco inspection)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