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BUILDING SCIENCE/기본원리

주택에서의 열, 수분, 공기 이동 그리고 공기의 침투와 누출

유맨CPI 2022. 5. 6. 11:59

너무나도 일상적이기도 하고 눈에 쉽게 뜨이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겠지만 주택은 실내의 환경조건과 외부 환경조건의 변화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부하를 받으면서 적절한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외부의 환경조건이라면 태양에 의한 열과 빛, 빗물, 눈, 바람, 온도와 습도변화 등이고 실내의 환경조건이라고 한다면 거주자들의 실내활동, 온도, 공기의 이동, 습도 등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그래서 이러한 외부와 내부적인 환경적인 요소들의 영향에 의해서 주택은 온도, 습도, 공기압의 이동이 뒤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외부에서 내부로의 이동과 정반대 방향이 되는 내부에서 외부로 온도, 습도, 공기압의 이동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온도, 습도, 공기압의 이동방향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주택의 에너지효율성뿐만 아니라 수분문제와는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수분문제라고 한다면 기본적인 누수 이외에 결로, 곰팡이, 악취, 집벌레 출현 등도 의미한다.

 

온도, 습도, 공기압의 이동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다. 주택의 기밀성과 단열성이 좋지 못한 상황이라면 겨울철 실내를 따스하게 데운 난방열이 외부로 줄줄 흘러나가는 것이고 여름철 외부의 뜨거운 열기가 실내로 침투해서 에어컨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즉 예상치 못한 겨울철 난방비와 여름철 전기세 폭탄고지서가 날라올 수 도 있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온도, 습도, 공기압의 이동변화에 의해서 외부오염물질이 내부로 침투할 수 도 있는 것이고 빗물과 외부의 습기 또한 내부로 침입해서 수분관련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수분의 특징을 두가지로 요약한다면 응집과 부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표면온도가 낮은 재료표면에 모여서 부착되어 있다가 적절한 환경이 조성이 되면 결로가 생기고 이어서 곰팡이와 악취까지 발생되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와 습도, 공기압의 이동원리에 대한 이해가 주택의 에너지효율성과 쾌적한 실내생활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