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와 그제 이틀동안 전국적으로 비가 내린 덕분에 더위가 다소 주춤한 듯 하다.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좀 더 많이 내렸으면 했는데 많이 아쉽다. 이번에 내린 양으로는 그동안의 가뭄을 해갈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양인 듯 하기 때문이다.
무더운 여름에는 본능적으로 시원한 바람을 찾게된다. 실내라면 에어컨이 작동하고 있는 곳이 해당 될 듯 하고 실외라면 작렬하고 있는 태양열과 빛을 피할 수 있는 그늘아래가 적절한 곳일 듯 하다. 거기다가 시원한 바람까지 불어주는 조건이라면 에어컨 못 지 않을 것이고 말이다.
요즈음 집들을 예전의 집들과 비교해서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다름아닌 단열성과 기밀성이다. 덕분에 여름을 좀 더 시원하게 겨울을 좀 더 따스하게 보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단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도 중요하지만 단열재가 기대하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밀성이 뒷받침 되어져야 한다. 기밀성(Air-tightness)이란 공기의 이동통로가 될 수 있는 틈새를 최소화시킨다는 의미다.
이렇게 집들에게 있어서 공기의 이동통로를 최소화시켜서 장점만 있기를 기대했건만 의도치 않게 통기성의 부족현상으로 기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바로 결로와 곰팡이의 출현이다. 그래서 요즈음 지어지고 있는 집들은 이러한 통기성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열교환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이 기본 옵션이 된 것이다.
그러나 전열교환기와 같은 환기시스템을 사용하는데에는 적지 않은 구입비와 설치비가 필요하고 무엇보다 지속적인 유지관리비가 뒤따라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아무리 제품이 우수하고 효율성이 좋다고 하더라도 자연환기와는 비교자체가 성립이 될 수 없다. 즉 자연환기가 최고의 환기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자연환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몇가지 알아야만 할 점이 있다. 환기한다고 창문 하나만 달랑 열어놓아서는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위 그림들이 보여주듯이 창문이란 창문은 모두 열어놓고서 환기를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거기다가 단층이지만 층고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아랫창문과 높은 창문의 높이차를 이용하는 편이 실내환기에 효과적이고 2층이 있는 경우라면 1층창문과 2층창문의 높이차를 활용해서 원활하게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환기를 하는데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비가 많이 내려서 외부의 습도가 높은 경우라면 자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날에 자연환기 시킨다고 집에 있는 창문이란 창문을 활짝 다 열어놓는 경우는 두팔 넓게 벌려서 실내로 습기를 초대하는 꼴이 된다는 것이다. 이런 날에는 난방을 하든지 혹은 제습기나 에어컨을 작동시키는 편이 실내를 뽀송뽀송하게 유지시는데 있어서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적절한 자연환기를 통해서 가족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실내공기질의 오염을 예방하고 실내습도 관리에 활용토록 하는 편이 좋을 듯 하다는 것이다.

'HOME INSPECTION > 실내공기의 질·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캠(HOMEchem)? (0) | 2022.10.17 |
---|---|
건강관리를 위해서 찾게 되는 피트니스 센터도 관리가 필요한데... (0) | 2022.06.22 |
환기장치의 설치가 기본이 되어가고 있는 듯 한데... (0) | 2022.04.25 |
겨울철 실내환기는 자주 시키고 계신지요? (0) | 2021.12.22 |
아파트 환기장치 특성을 알아야하는데... (0) | 202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