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집의 경우는 정원을 만들기 위해서 콘크리트 옹벽을 만들어서 내부를 토양으로 채웠다. 위 사진의 모습은 이 콘크리트 옹벽의 외부를 벽돌로 마감한 모습이다. 외벽의 회색빛 국물자국은 내부의 콘크리트와 벽돌에 포함된 소금성분이 여름철 장맛비에 녹으면서 외부로 유출된 모습이다. 미관상의 문제일 뿐 구조적인 안전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옹벽 외부의 회색빛 국물자국이 생긴이유는 당연히 비가 많이 내렸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두겁석의 폭이 너무 짧은 것도 원인 중 하나가 될 듯 하다. 두겁석의 폭이 넓고 물끊기 홈까지 시공이 되었다면 아마 사진에 보이는 정도까지는 되지 않았을 것이다. 두겁석의 폭이 짧고 물끊히 홈이 없는 조건이기 때문에 쏟아져내리는 빗물이 벽면을 따라서 고스란히 흘러내릴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두겁석의 폭과 물끊기 홈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빗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건축재료 내부로 쓰며듬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과 빗물의 씻김작용으로 인한 외벽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주변을 살펴보면 그다지 어렵지 않게 건물의 외벽이 얼룩진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러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위 사진을 보면 콘크리트 옹벽 이곳저곳에 구멍을 만들어 놓긴 했는데 그 용도가 애매하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배수구멍을 만들어 놓은 것 같은데 비가 많이 내리는 장마철의 경우에는 오히려 내부로 빗물침투를 가속화 시켜서 내부수조를 만들어 놓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을 듯 하다.
옹벽내부에 토양으로 채워진 조건이기 때문에 내부벽면에 방수층을 만들고 하단부에 유공관을 토목섬유로 감싼 후 주변을 쇄석으로 채워서 빗물이 좀 더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이지 않았을까라고 생각해 본다.
'BUILDING SCIENCE > 부분별 특성·기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외벽하단부와 주변토양과의 이격거리의 중요성 (0) | 2022.08.31 |
---|---|
스루 월 플레슁(Through wall flashing) (0) | 2022.08.19 |
평지붕 옥상 배수가 잘 이루어지고 있군... (0) | 2022.07.14 |
킥 아웃 플레슁(Kick out flashing)과 스텝플레슁(step flashing) (0) | 2022.06.27 |
처마홈통을 생략하게 되면...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