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생각으로는 결로라고 하면 추운 겨울철에만 생기는 것 아니냐고 여길 듯 한데 사실 결로는 조건만 적절하게 맞아떨어지면 계절과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이슬점이라고도 한다. 결로의 발생조건은 차가운 표면온도와 습도다. 표면이 차갑고 습도가 높은 조건이 형성되면 이슬방울이 맺히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위 사진은 천장의 유리섬유단열재가 완전히 푹 젖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천장마감재에 가려져서 젖은 상태로 방치가 되다보니 젖은 단계를 넘어서 표면에 곰팡이까지 핀 모습이다. 그것도 흰 곰팡이다. 즉 젖은 상태로 적지않은 시간이 지났다는 명백한 증거라는 것이다. 주인장의 표현을 빌리자면 시공사측에서는 누수라고 판정했다고 한다.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이기도 하고 단열재가 일단 젖었으니 누수라고 판단한 듯 보인다.
그런데 정말이지 누수때문에 생긴 문제일까? 아쉽게도 시공사측에서는 여름철 결로를 생각하지 못한 것 같다. 모두가 알다시피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철에는 외부 온도와 습도가 높다. 그래서 실내에서는 쾌적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에어컨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실내온도는 외부온도보다 낮게 되고 또한 에어컨의 부가적인 기능으로 실내습도까지 낮아지게 된다.
실내에서 발생된 습기는 위로 상승하게 되고 천장을 마감하고 있는 표면에는 미세한 틈새들이 존재하는데 이 미세한 틈새 사이로 습기가 천장위로 침투하게 되는 수순이 이어진다. 그래서 천장 위로 침투하게 된 습기는 반드시 외부로 배출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목조주택의 경우에는 이렇게 실내에서 발생된 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소핏벤트와 릿지벤트가 시공되어져 있다.
이 집의 경우에는 실내에서 발생된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천장에 가두어진 조건에서 쾌적한 실내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에어컨을 지속적으로 가동하게 된 것이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이와같은 상황을 초래하게 된 꼴이다. 거기다가 지붕벤트도 없는 조건이니 설상가상인 상황이라는 것이다. 주택의 유형을 떠나서 실내에서 발생된 따스한 습기는 반드시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편이 주택의 유지관리측면에서 적절하다는 것이다.
'BUILDING SCIENCE > 하자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에 줄기초 집을 접해보는군... (0) | 2023.06.12 |
---|---|
스타코벽체 하단부는... (0) | 2023.06.05 |
주택 역시 속병을 앓고 있을 수 있는데... (0) | 2023.04.24 |
천장표면의 피해가 없는 미세누수라면... (0) | 2023.02.06 |
성토된 대지일수록 지반다지기에 신경을 써야하는데...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