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의 내구성에 가장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자연요소 중 하나가 다름 아닌 바로 빗물이다. 그래서 건물이 지어질 당시 초기의 튼튼한 내구성을 오랜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빗물에 대한 대비책이 갖추어져야만 하는 것이다. 만약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이 수직방향이라면 건물의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처리하는 기본적인 홈통과 수직낙수관 정도의 기본적인 배수시스템만으로도 비교적 별다른 문제의 발생가능성 없이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빗물은 언제나 바람과 함께 내리고 움직여서 건물에 영향을 미친다. 내구성에 좋지 않은 방향으로 말이다. 공기의 흐름인 바람은 우리주변을 항상 맴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 비바람의 콤비네이션으로 건물의 외벽에 난 작은 틈새나 크랙, 조인트, 창문 등의 개구부 사이로 빗물이 침투할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비바람의 힘을 통해서 빗물방울이 수평방향 더 나아가서는 수직방향으로까지 벽체의 외장재속으로 침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건물 외장재자체가 물을 어느정도 흡수하는 정도를 넘어서 안쪽으로 깊숙히 침투를 시키는 추진력이 되는 것이다.
위 그림은 바람의 흐름을 통한 빌딩에 대한 비바람의 궤적을 보여주고 있다. 바람은 건물을 만나게 되면 좌우로 나누어지게 되고 혹은 수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건물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이때 급속하게 방향을 바뀌게 되기때문에 좌우 모서리와 중앙 정면 상단과 옥상 파라펫 부분에 많은 부하를 주게 되고 그림에서 보여주듯이 작은 회오리까지 발생하게 되어서 이러한 부분들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옥상의 파라펫은 이러한 비바람에 대비해서 방수시공이 되어야 피해가 적어지는 것이다. 작년에 벽돌 파라펫에 누수문제가 많이 발생한 이유가 비가 많이 내린 이유도 있겠지만 결국 누수방지상세시공이 부족했기 때문에 발생된 문제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그래서 건물은 이러한 자연요소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는 비록 빗물이나 빗방울이 침투하더라도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물매가 지어져서 빗물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해야하고 수분의 저장능력이나 저항성, 아니면 건조능력이 좋은 건축재료를 사용해서 빗물에 오랜기간 동안 잘 버티거나 어느정도는 젖도라도 잘 건조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조인트 등의 틈새는 탄력성이 있는 실링재로 잘 마무리되어서 건축재료의 수축과 팽창에 대비해야 하고 외벽은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야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는 대비책이 될 듯 싶다
'BUILDING SCIENCE > 빌딩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분 : 집 = 인연 or 악연 ? (0) | 2021.04.05 |
---|---|
역 증기 이동현상(Reverse Vapor Drive)? (0) | 2021.04.01 |
누수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만 있다면... (0) | 2021.03.09 |
빌딩사이언스에서 말하는 지난 50년간 일어난 주택역사를 바꾼 5가지 변화요소 (0) | 2021.02.25 |
스택 이펙트(Stack Effect)!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