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2025/02 9

벽돌집의 에어벤트, 윕홀, 윕벤트

실내공기순환의 중요성은 다들 잘 알고 있을 듯 한데 반면에 실내를 보호하고 있는 벽체 공기순환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인식을 못하고 있을 것 같다. 사실 공동주택의 경우보다는 벽체의 구성이 좀 더 복잡한 단독주택의 경우가 주로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주택의 골격이 목조인 경우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당연하게도 목조는 수분에 다소 취약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목조주택 중 외부의 마감을 치장벽돌로 마감한 집들에 주로 해당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이러한 치장벽돌집에 거주하고 있는 주인장이라면 주택의 유지관리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실내의 공기순환상태는 어렵지 않게 체감할 수 있지만 벽체내부의 상태는 알지 못한..

춥다고하면 다 그만한 이유가...

새벽녘에 찍은 열화상이미지다. 빨간색은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오고 있는 모습이다. 열의 가교역할 즉 열교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조건이니 거주하시는 분들이 춥다고 하는 이유인 것이다. 열화상카메라가 가진 장점이 십분 발휘된 모습이다. 이와 같은 뚜렷한 이미지를 얻기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야 하지만 시간대의 선택도 중요하다.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가 큰 겨울철이라고 해도 해가 중천에 떠있는 낮시간대에는 햇빛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미지를 얻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옆집도 거의 마찬가지 조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은 지 몇년 안된 단지인데 이런 상태이니 명백한 시공하자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를 활용해서 단열검사를 하려면 기본적으로 열민감도와 해상도가 우수해야 기..

희뿌연 유리창, 원인은...

위 유리창은 유리판 내부에 이슬이 맺힌 모습인데 살짝 크랙이 생긴 모습이다. 아마 이 크랙때문에 유리판의 밀봉상태가 깨지게 되면서 유리판내부로 공기가 침투한 것 같다. 유리판에 크랙이 생기지 않았더라도 안개 낀 유리창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원인은 같다. 유리판내부로 공기가 침투한 것이다. 주로 어느정도 연식이 있는 유리창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있는데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유리창교체이지만 요즈음 유리창 교체비용이 저렴함과는 거리가 멀다. 북미나 유럽에서는 이와같은 안개낀 유리창을 전문적으로 보수하는 업체나 업자가 있는 것 같은데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없는 것 같다. 위 그림은 유리창의 솔라펌핑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낮과 밤 그리고 계절적 온도변화에 의해서 유리판내부의 공기가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면서 ..

카테고리 없음 2025.02.21

유리창이 뿌옇네....

안개낀 날 유리창 외부표면이 뿌옇게 변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안개의 입자는 아주 미세한 물방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안개 낀 날도 아니고 유리창이 뿌옇게 변하는 경우가 있다. 위 사진처럼 말이다. 유리창 내부도 아니고 그렇다고 외부도 아니다. 딱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에서 말이다. 이러한 유리판 내부표면에 끼인 안개는 해가 뜨고 온도가 올라가면 어느순간 사라진다. 사실 일사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건조가 되는 것이다. 원인은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를 밀봉하고 있는 실링재의 미세한 틈새로 수분을 머금고 있는 공기가 침투해서 생긴 것이다. 즉 유리창의 교체시기가 도래했다는 의미다.  그런데 유리창 교체비용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아마 방치가 된다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면서 저 안개의 크기가 ..

외단열벽체인데 결로가 생기네요...

내단열벽체의 단점이라면 결로가 생긴 수 있다는 점이다. 결로만 생기면 좋으련만 이 결로수가 마르지 않고 방치가 되면 패키지인 곰팡이와 악취도 발생하게 되는 수순으로 이어지게 된다. 공동주택의 대명사격인 아파트도 사실 거의 내단열벽체다. 내단열벽체란 콘크리트벽체의 안쪽에 단열재를 붙인다는 의미다. 그 위에 석고보드와 벽지로 마감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단열벽체에서 발생하는 결로와 곰팡이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화되면서 근래에는 이보드를 활용해서 결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시키는 시공법으로 진화했다. 외벽과 맞닿아 있는 벽체의 내부  모서리부근에 얇은 단열재인 이보드를 붙인다는 것이다. 사실 별것 아닌 것 같은데 결로가 발생하는 이슬점에 이르지 못하게 함으로써 그 효용성은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천장얼룩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하는 경우라면

어느해보다 눈이 많이 내렸던 겨울철도 서서히 끝자락으로 향하고 있는 상황인데 해마다 이맘때 쯤이면 천장의 표면에 얼룩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하면서 예민한 주인장의 레이다망에 포착되는 경우도 있을 것 같다. 이러한 천장의 얼룩발생 위치와 그 범위, 지속상태, 확대상태, 건조상태 등에 따라서 가장 골칫거리인 누수문제에 해당될 수 도 있고 단순결로일 가능성도 있다. 혹은 소위 고스팅흔적일 수 도 있다. 고스팅 흔적이라고 해서 등꼴을 오싹하게 만드는 귀신의 소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주로 단열성이 부족한 연식이 있는 주택의 경우에 표면에 발생하는 얼룩을 의미한다. 단열성이 부족하면 당연히 겨울철에 천장표면이 차갑게 되고 이것으로 인해서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차가운 표면과 조우를 하며 이어서 먼지나 그을음..

온습도계 하나 정도는 주택유지관리의 필수품

집과 멀리 떨어져서 직장생활을 하는 경우에 원룸을 얻어서 생활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다. 주로 젊은 층들이 이와같은 생활을 하고 있는 듯 한데 직장생활이 만만치 않고 퇴근 후에는 고단한 심신으로 인해서 휴식이나 취침을 하기 바쁘기 때문에 원룸청소나 유지관리에 신경을 쓸 겨를이 없을 것이다. 또한 주택의 유지관리는 관심의 카테고리에 포함되지도 않을 것 같다. 그렇지만 적어도 온습도계 하나정도는 구비해 놓는 것이 좋다. 결로, 곰팡이, 악취, 집벌레 등의 출현이 바로 온도, 습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비싼 제품도 필요한 것이 아니다. 저렴한 네모난 온습도계 정도면 충분하다.원룸의 경우라면 기본적으로 면적이 작기 때문에 온도와 습도의 영향이 바로 나타날 수 있다. 구조상 물을 많이 사용하는 ..

창문고정실링이 없는 제품도 있구만...

창문은 크게 유리판과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리판과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하좌우를 주로 실리콘으로 밀봉처리한다. 물론 시스템창호의 경우는 가스켓으로 고정하는 제품도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인테리어현장에서 그 동안 보지 못했던 제품을 발견했다. 발코니외부창문인데 외부는 실리콘으로 고정을 하는데 내부는 고정재가 없는 제품이다. 현장에서 작업을 하던 인테리어업체 사장님의 표현으로는 새로나온 제품이라고 하던데 혹시 하자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발동을 해서 제품을 생산하는 본사의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서 확인을 해보니 뷰프레임이라고 하는 제품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위 사진이 보여주듯이 내부 프레임과 유리판의 조인트를 밀봉처리하는 실리콘이 없는 제품이다. 이러한 고정 실리콘이 없는 대신에 프레임내부에 가스켓으..

보일러 응축수 vs 에어컨 응축수

요즈음 주택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스보일러는 거의 대부분이 콘덴싱이다. 콘덴싱(Condensing)이라는 단어는 응축을 의미한다. 가스를 가열하게 되면 열과 일정량의 뜨거운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냥 버려질 수 있는 뜨거운 수증기의 열을 재활용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뜨거운 수증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을 재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부산물로 물이 남게되는데 이 물이 바로 배출되는 응축수다. 당연히 화석연료를 연소하기때문에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등을 포함하고 있고 산성성분이므로 엉뚱한 아이디어로 한번 마셔볼까하는 생각은 금물이다. 이 콘덴싱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산성성분의 응축수와 관련해서 북미권에서는 철과 같은 금속파이프의 부식문제로 사회적인 이슈로 다루어지기도 했던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