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에 지어진 신축급 아파트에서는 전열교환기와 같은 환기장치의 설치가 의무이기 때문에 전열교환기라는 단어가 익숙할 듯 하지만 단독주택에서는 "그게 뭐야?"란 반응을 보이는 분들도 계실 듯 하다. 혹은 아파트에서는 기본이라고 하니 단독주택인 우리집에도 설치를 해야하는지 저울질 하고 계신분들도 있고 말이다.
전열교환기와 같은 환기장치의 구입여부는 최종적으로 주인장의 손에 달려있지만 남들 하니까 나도 한다란 심리로 무작정 따라하기 보다는 좀 고려할 점들이 있다는 것이다. 근래에 지어진 신축급 아파트에 전열교환기와 같은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이유는 다름아닌 기밀성이 높아진 덕택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예전와 같은 주택의 이런저런 틈새를 통한 자연적인 공기의 이동통로가 차단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주로 창문과 문틈사이가 공기의 주요한 이동통로였으나 기밀성이 강화되고 관련된 기술이 발달되다보니 이러한 틈새마저도 거의 실종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저기 틈새란 틈새를 모조리 꽉 틀어막아서 기밀성이 강화되면 장점만 있을 줄 았았는데 예상치 못했던 실내공기질의 저하와 수분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서 기밀성이 높은 주택들은 전열교환기와 같은 기계식 환기장치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즉 자연적인 공기순환이 부족해진 기밀성이 높은 주택들이 전열교환기의 주요한 설치 대상이라는 것이다. 전열교환기에는 종류도 많다. 국산도 있고 고가의 수입제품도 있다. 기본적으로 구입비용와 설치비용 그리고 관리비용이 뒷따른다는 것이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기밀성이 높은 주택이 아니라면 굳이 고가의 전열교환기 설치는 비효율적일 듯 하고 조금 귀찮더라도 자연환기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사실 대부분의 주택에는 이미 기계식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다름아닌 주방후드와 욕실팬이다. 이 주방후드와 욕실팬만 적절하게 사용해도 전열교환기와 같은 환기장치처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주방에서 조리를 하고 욕실을 사용 할 때 뿐만 아니라 실내환기용으로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옆 창문이 아니라 거실 반대편 창문을 개방시키고 작동을 시키면 실내오염물질 뿐만 아니라 결로와 곰팡이 발생의 주요한 요인인 실내수분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너무 익숙해서 그렇지 주방후드와 욕실팬이 생각보다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겸할 수 있다는 것이다.
'HOME INSPECTION > 유지와 관리 &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부지방에 적설량이 60cm가 넘는 곳이 있다는데... (0) | 2022.12.23 |
---|---|
주택의 스노우 드리프트(Snow Drift) (0) | 2022.12.16 |
틈새를 막을 때에는 실리콘 or 백업재? (1) | 2022.12.06 |
월동준비의 정석은 창문에 비닐치기라고요? (0) | 2022.11.23 |
동절기 춥다고 여기저기 걸어잠그기만 하다가는...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