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실내부를 꾸미는 방식은 일반적인 습식공법만 있는 것이 아니다. UBR(Unit Bath Room)이라고 호칭하는 소위 조립식공법도 있다. 조립식욕실은 단어가 의미하듯이 제조업체에서 욕실을 만들어서 현장에서 재조립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무엇보다 빠른 시공과 비교적 낮은 투입비용이 장점이라고 한다. 주로 모텔이나 호텔과 같은 숙박업체, 캠핑카, 기차, 여객선 등에서는 꾸준한 수요가 유지되고 있는 것 같고 재질은 아무래도 가격적인 면과 시공의 편의성 때문에 플라스틱 종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다.
주택도 예외는 아니다. 주로 좀 연식이 있는 공동주택에도 설치된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아무래도 연식이 좀 있다보니 누수문제가 생기고 내부표면의 색이 바래면서 때가 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리모델링을 계확하면서 일반적인 습식욕실로 바꾸기를 원하는 수요가 생기고 있는 듯 하다.
우리집 욕실이 조립식욕실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주위가 둘러싸인 조건이기 때문에 골조벽체와의 사이에 틈새가 있어서 두드리면 속이 빈 듯 한 소리가 날 수 있고 세면대와 욕조가 일체식인 경우, 세면대의 배관이 욕조와 연결된 경우 등 이라면 조립식욕실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조립식욕실이든 습식욕실이든 수분과 관련된 문제만 없다면 생활하는데 있어서 별다른 문제는 없다는 것이다. 욕실은 물의 사용이 가장 많은 장소다. 그만큼 수분관련문제의 발생가능성이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다. 주인장들과 식구들의 평소 생활패턴에 따라서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욕실 사용시 특히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팬을 가동시키고 용무가 끝난 후라도 적어도 20분 이상은 지속적으로 가동을 시켜서 실내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 수 있도록 해야하고 평상시에는 출입문을 개방시켜 놓아서 원활한 공기순환으로 욕실내부가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편이 수분관련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 시킬 수 있다.
'RELEVANT TOPICS > 주택 리모델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리모델링 함부로 했다가는... (1) | 2023.01.05 |
---|---|
오래된 구옥을 구입해서 리모델링을 하신다구요? (0) | 2022.12.27 |
발코니 확장 너무 쉽게 생각했다가는... (0) | 2022.04.07 |
2년전에 리모델링한 집, 누수냐 결로냐 그것이 문제로다! (0) | 2022.03.25 |
구옥 리모델링을 너무 쉽게 생각했다가는... (0) | 2022.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