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유맨 좋은집 건강한집 하자없는집 80

실내공기 일산화탄소만 문제라고!!

얼마전 펜션에서 발생한 일산화탄소중독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켜서 한동안 일산화탄소 중독과 탐지기가 큰 관심을 받았다. 이번에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너무나 익숙하고 일산화탄소와 사촌관계인 이산화탄소의 위험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이산화탄소는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일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유기체의 대사과정에서도 생성된다. 이산화탄소는 인간대사과정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건물내에서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신선한 공기가 그 공간에 적절하게 공급되는지에 대한 지표로 자주 활용된다. 보통이상 수준의 이산화탄소는 두통, 피로를 유발할 수 있고 더 높은 농도는 메스꺼움, 현기증, 구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매우 높은 수준의 농도는 의식을 잃게 만들수 있다. 방이나 건물내에서 높은 농도의 이산..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실내공기질(IAQ)에 대한 영향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어떤 고체나 액체로부터 가스형태로 방출된다. 화학물질을 포함한 다양한 VOCs는 단기간에서 장기간에 걸쳐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많은 VOCs의 농도는 외부보다 실내가 예외없이 거의 10배까지 높고  수천가지 다양한 생산품에서 방출된다. 유기화합물들은 가정용품의 주성분으로 폭넓게 사용된다. 페인트, 바니쉬, 왁스는 많은 청소, 소독, 화장, 세정, 취미용품들 처럼 모두 유기성 용매를 포함한다. 연료들은 유기성 화학물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든 제품들은 우리가 이용하는 동안 유기성 화합물을 발산할 수 있고 어느정도 저장하고 있다. 미국환경보호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연구자료에 의하면 집이 시골이든 도시이든 상관없이 외부보다 가정내부에 2배 ~ ..

산 그리고 회상

어제 올겨울 들어서 처음으로 눈다운 눈이 내렸다. 일기예보상으로는 전국적으로 10cm이상의 눈이 내린다고 하였으나 실제로 우리동네에 내린 눈은 4~5cm정도 인것 같았고 날씨가 비교적 춥지않아서 도로주변은 거의 다 녹은 상태인것 처럼 보였다. 시원한 공기를 마시며 하얀눈을 밟으면서 일상이 되어버린 천마산 다산길 7코스 둘레길을 걸었다. 평상시에는 생각하지 않았던 나와 산과의 인연에 대한 지나간 짧은 옛기억들이 주마등처럼 뇌리를 스쳤다. 돌이켜보면 아마 초등학교 입학 전이니까 대여섯 살 정도에 형과 누나를 따라서 진달래 따러 간다고 인근 마을 뒷산에 올라갔던 모습이 살며시 기억나고 집에와서 어린동생 데리고 멀리까지 갔다고 형이 어머니로 부터 심한 꾸중을 들었던 것도 덤으로 기억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

기본원리#10 모세관 활동과 중력

공기누출과 습기확산을 제어하는 것은 건물외피를 통하는 잠재적인 습기침투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모세관 활동과 습기흐름의 메카니즘을 제어하는 것은 건물외피안으로의 물의 침투를 방어할 수 있다. 우리는 예방기술과 비흡수성 재료를 사용해서 모세관 활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한 습기의 흐름은 우선적으로 물을 흘러보내는 기초, 벽, 지붕을 디자인하고 시공함으로써 감소된다. 이것은 적절한 플레슁, 빗물 홈통, 그리고 기초배수의 시공과 건물로부터 멀리 배수가 잘 되도록 기초주변을 경사지게 만들어서 해결할 수 있다. 주택 내부와 외부로부터 건물단열선이내로 습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드는 공기누출, 습기확산, 모세관활동 그리고 중력을 이해하는 것과 습기의 흐름메카니즘을 제어하는 법을 이해..

기본원리#8 빗물 컨트롤

흔하게 등한시 여기는 건물외피의 기능이 물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것이다. (물의 움직임을 수증기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휘몰아 치는 빗물처럼 물이 건물외피로 침입하는 것을 예방해야한다. 이 기능은 대체적으로 외부사이딩이나 지붕재가 하고 있다. 기억해야할 중요한 점은 이 차단재가 외부에서 건물외피안으로의 이 빗물의 투입을 막으면서도 습기는 건물외피에서 외부로 통과해서 나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차단재는 또한 빗물과 공기투과를 제한해야한다. 플레슁(Flashing)은 빗물이 사이딩이나 지붕재를 통과 하였을 경우에 물의 방향을 외부로 돌리는 일반적인 방식이다. 남동 알래스카와 같은 습윤기후지역에서는 월 캐비티(wall cavity)와 시딩(sheathing)과 외부사이딩을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기본원리#6 공기의 이동과 흐름

공기의 누출은 가정의 열손실, 거주자들의 불편함, 실내습도의 지나친 하락, 대기유해가스와 오염원 유입 등을 초래하게 만들고 단열재와 구조재안으로 습기를 침투시킬 수 있으며 주택의 외관에도 피해를 주게 만든다.어떤 가정에서는 열과 습기와 함께 매시간마다 집의 전체공기량의 두배나 세배정도가 누출된다고 한다. 공기흐름에 대한 완전한 이해없이는 편안하고 오래가고 효율적인 집을 짓는 것은 불가능하다. 주택에서 가장 주요한 실패원인 중 많은 것들이 의도적이지 않은 공기흐름의 결과로 인해서 발생한다. 운좋게도 빌딩사이언스의 기본원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실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전략과 테크닉을 가르쳐준다. 그해결책은 단순하다. 구멍을 막으면 된다. 가정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위해서는 두가지로 요건이 필요하다. 첫번째가 구..

기본원리#4 열손실 컨트롤

가장 중요한 열손실 관리방법은 전도,대류,방사에 의한 열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이다. 열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서 건축사와 빌더는 최적의 단열재 양을 적절하게 설치하기위한 생각이 필요하다. 단열재는 열의 흐름을 지연시킬뿐 열의 흐름을 완전히 멈출 수 없다. 열을 전도시킬 섬유질 재료나 유리섬유가 단열의 역할 하는 것이 아니라 단열은 정지되어 있는 공기나 기체들에 의해서 열의 흐름을 제한한다. 단열은 전도, 대류와 방사열의 이동을 가장 최소화 할 때 가장 기능성이 높다. R-value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한 6가지 요인들이 있다. 1. 열교현상 - 짧은 순환 통로를 통해서 열이 전도되는 것이다. 열이 다리를 통해서 좀 더 차가운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2. 단열재 공극률 - 적절하지 못한 단..

기본원리#3 열손실 관련 용어와 정의

건축디자이너와 빌더가 열의 이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건물 외장재들의 구성과 에너지사용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건물의 외장재을 가로지르는 열의 손실율은 Delta T와 R-value 그리고 건물표면관리에 의해서 통제될 수 있고 방사열 손실을 계산하는 단순한 공식은 없다. 열손실 측정 및 계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몇가지 관련 용어와 정의에 대해서 알아본다. BTU. 열은 일반적으로 영국의 열량단위로 측정된다. 1BTU는 1파운드의 물을 1도(화씨)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열의 양이다. 전형적인 부엌용 나무성냥이 발화하여 열을 방사하는 양이 대략 1BTU이다. 가정에서는 매년 수백만 양의 BTU를 사용하고 동절기 기간동안 난방을 하기 위해서 매시간 수만 양의 BTU가 필요하다...

기본원리#2 10가지 기본원리

빌딩은 시스템이다! 빌딩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고 빌딩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인공적인 재료들과 구조재들 그리고 햇빛, 눈, 비, 바람(기압) 등의 자연현상과 그 안에서 생활하고 있는 구성원(사람, 동물, 식물)들이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주고받고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빌딩사이언스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기본원리를 10가지로 나누어 볼수 있다. 1.열은 뜨거운 온도에서 차가운 온도로 이동한다. 2. 열은 상승하지 않는다 -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는 것이다. 3. 열은 전도, 대류, 방사에 의해서 이동한다. 4. 단열재를 통과한 열은 가두어진 공기나 다른 기체들에 의해서 이동이 느려진다. 5. 기밀성은 주요한 열의 손실을 보호한다. 6. 공기는 높은 압력(고기압)에서 낮은 압력(저기압)으로 이동한다. 7. ..

기본원리#1 열의 이동원리

오늘은 빌딩사이언스의 기본원리 중 열의 이동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열은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3가지 원리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다. Conduction(전도), Convection(대류), Radiation(복사)이 바로 그것들이다. Conduction(전도) 전도현상은 우리가 일상에 흔하게 관찰 할 수 있듯이 고체를 통한 직접적인 접촉으로 발생한다. 이것은 가정내 열 손실의 주요한 원인이 될수 있으나 열전도율이 좋지 않은 재료(단열재)를 사용해서 가정내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Convection(대류) 대류현상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가정내 공기의 움직임에 촛점을 맞추어보자. 우리의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우리의 집 안에는 언제나 흐르고 있고 서로 충돌하고 있는 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