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BUILDING SCIENCE 570

콘크리트 크랙보수 - 그라우팅이 뭔가요?

대한민국은 콘크리트 공화국라는 말에 이의를 다는 사람은 거의 없을 듯 하다. 서울 및 수도권 뿐만 아니라 지방 대도시나 중소도시 정도만 둘러보아도 보이는 것은 커다란 콘크리트 빌딩숲이니까말이다. 이러한 인공적인 콘크리트 숲속에서의 삶에 싫증이 나고 지쳐서 그런지 주말이나 휴일이 되면 인공적인 숲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숲을 찾아서 시외지역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 아무리 외관을 아름답게 꾸며놓더라도 인공적인 숲에서는 쉽게 얻을 수 없는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과 혜택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기본적으로 물과 공기의 질이 다르다는 것이다. 아파트 실내에서 아무리 공기청정기로 실내의 공기질을 정화한다고 해도 푸른 숲과 맑은 물이 샘 솟고 있는 자연그대로의 공기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가 없을 ..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요인 - 탄산화

우리나라가 소위 콘크리트 공화국이라는 호칭에 반대하는 의견을 내는 사람은 거의 없을 듯 하다. 아파트와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비율이 거의 80%에 육박하고 있는 상황이고 단독주택들의 경우도 상황은 거의 마찬가지 인 듯 하다. 물론 목조주택과 스틸하우스, 샌드위치 패널하우스 등도 있지만 전체적인 비율로 따지고 보면 그저 미미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빗물 한방울 샐 것 같지 않은 이 내구성의 대명사로 통하고 있는 이 콘크리트도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존재한다. 그 몇가지 주요한 요인 중 콘크리트의 탄산화로 인한 내구성저하가 있다. 콘크리트를 구성하기 위해서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건축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타설재료는 시멘트, 물, 모래, 굵은 골재의 혼합물이다. 여기에 계절..

신축아파트 vs 구축아파트

대한민국은 아파트 공화국이란 말이 있다. 서울과 수도권 뿐만 아니라 지방 대도시나 중소도시 인근지역만 접근해도 보이는 것은 높다란 아파트단지이니까 말이다. 거기다가 유즈음에는 적어도 25층 이상이고 용적률을 너무 높이고 동간거리가 짧아서 말들이 많은 40층이상의 고층아파트단지들도 부지기수인 것 같다. 덕분에 하루종일 해가 비치지 않는 세대들도 적지않을 것이다. 주택은 일조량을 절대 무시할 수 없는데도 말이다. 주택선택시 절대 피야할 북향은 아니지만 아파트구조와 주변상황으로 인해서 북향과 같은 조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향은 기본적으로 햇빛이 비치지 않기 때문에 건조가 어려워서 집이 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습하다는 것은 곰팡이와 결로발생은 기본옵션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투자목적이..

주택의 피부, 관리가 필요한데...

사람을 포함한 동물만 피부가 있는 것이 아니다. 집도 피부가 있다. 이 피부의 역할은 당연히 피부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이다. 주름하나 잡티하나 없는 촉촉하고 윤기있는 피부를 오랜기간 동안 유지하고 쉽은 속마음은 나이와 성별을 떠나서 누구나 갖고 있을 듯 하다. 그래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과는 상관없이 먼거리를 이동해서 유명 피부과나 피부관리샵을 방문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하고 인근지역의 지명도 높은 피부과나 피부마사지샵 등을 예약하고 진단을 받은 후 시술을 받거나 서비스를 받으려면 적지않은 대기 시간이 필요한 곳도 있다고 한다. 즉 피부와 미용 등 소위 뷰티관련업이 커다란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서 많은 비용이 오가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사람만 피부관리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 집도 피부관리가 필요..

유리창의 노후화

집의 외피를 구성하는 건축재료 중 가장 약한 부분은 어딜까? 너무 깊게 생각할 필요도 없을 듯 하다. 바로 속살이 훤히 비치고 있는 유리창이다. 속살이 너무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커텐이나 블라인드를 이용해서 민망함을 커버하기도 한다. 지금과 같은 겨울철에는 창문의 단열성문제가 종종 골치거리가 되기도 하는데 유리창의 교체시기는 언제가 적절한지 궁금할 수 있을 듯 하다. 창문의 단열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은 모두가 숙지하고 있는 내용이다. 그래서 요즈음에는 거의 기본적으로 2중창이 선택받고 있다. 거기다가 로이코팅이나 아르곤가스 충전유리창도 익숙한 선택사항이 된 듯 하다. 유리창은 내구연한은 기본적으로 10년~20년 정도 된다고 알려져있다. 그러나, 창문자체의 불량, 시공기술, 창문이 ..

아파트 난간추락사고 그리고 콘크리트의 노후화

오늘 아침뉴스를 보니 지은지 30년정도가 지나고 있는 아파트에서 창문교체작업을 하기위해서 난간대에 밧줄을 고정해서 작업을 하던 중 난간대가 이 무게를 이겨내지 못해서 아래로 떨어지면서 2명의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었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사고의 원인과 책임을 규명하기 위해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설명하면서 사고의 원인이 안전모와 안전대 미지급으로 인한 현장관리자의 관리소홀로 몰아가고 있는 모양새 인 듯 하다. 잊을만 하면 또다시 반복되고 있는 안전관련사고...안전의식에 대한 교육부족 그로인한 안전불감증이 주요 원인이 될 듯 하지만 건축물과 건축재료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간과된것도 무시못할 이유가 될 듯 하다. 물론 따지고 보면 이 건축물과 건축재료의 특성에 대한 학습도 안전..

실거주 목적의 아파트 선별 팁

투자용이 아니라 실제 거주목적의 아파트를 찾는 경우라면 몇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사실 아파트 뿐만 아니라 단독주택도 거의다 해당하는 내용일 것이다. 요즈음 아파트들은 기본적으로 단열성과 기밀성, 실내인테리어 등은 비교적 우수한 편이어서 이 부분은 제외시키도록 하겠다. 우선적으로 인근 지역에 제조공장이 있다면 일단 피해야 한다. 굴뚝을 통해서 좋지 못한 냄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염물질을 배출시키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환경과 대기관련 법적인 기준에 따라서 배출을 하고있는 상황이겠지만 100% 방어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단은 피하는 것이 상책일 듯 싶다. 여기에는 축사와 같은 시설도 포함된다. 주변상권이 지나치게 발전된 동네도 역시 피하는 것이 좋을 듯 싶다. 쇼핑 등 생활하기..

집이 보내는 SOS 신호를 무시하면...

나이와 성별을 떠나서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게 된다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건강을 최우선순위로 뽑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물론 개인적이 처한 상황과 조건 그리고 생각 등의 차이로 인해서 부, 명예, 가족, 친구 등이라는 답변들을 선택할 가능성도 역시 무시할 수 없을 듯 하다. 사실 열거된 답변들 모두다 우리의 인생에서 소중한 것들인 것 같다. 그런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건강이 가장 중요할 듯 하다. 건강이 뒷 받침되지 못한다면 부, 명예, 가족, 친구들과의 즐거운 동행이 쉽지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부유해야지 건강을 지킬 수 있고 명예를 얻을 수 있으며 가족, 친구들과 단락한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 있을 것도 같은데 사실 어느 것에 좀 더 의미를 두느냐에 ..

단열에 대한 이해

우리가 집을 선택할 때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단열성이다. 각 유형별 집과 건축재료의 특성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열성의 중요성만은 기본적으로 잘 알고 있는 듯 하다는 것이다. 주택에 있어서 단열성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다.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황소바람이 부는 추운 겨울철의 경우만을 생각해서 그런지 단열성하면 겨울철에만 해당하는 줄 알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듯 한데 단열성은 겨울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도 역시 중요하다. 열은 기본적으로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을 한다. 즉 여름철에는 외부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실내로 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실내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외부로 향해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단열을 하지 않으면 어느순간 이..

연돌효과, 틈새를 막아라!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돌효과라고 들어보았을 것이다. 연돌효과라는 단어를 들어보지 못한 경우라면 대신에 굴뚝효과나 굴뚝작용이라는 단어는 들어 보았을 것이다. 기억이 가물가물해져서 그렇지 모두다 학창시절에 배웠던 내용이다. 머리를 쥐어잡고 아무리 기억을 쥐어짜내도 연돌효과나 굴뚝효과에 대한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라면 아마 수업시간에 졸았거나 딴 생각을 했던지 아니면 멍때리기를 했다거나 땡땡이를 쳤을 확률이 높을 듯 싶다. 스텍이펙트(Stack effect)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이 연돌효과가 사실 우리의 생활과 적지 않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주택의 쾌적성과 에너지효율성 뿐만 아니라 결로, 곰팡이, 심지어는 콘크리트나 벽돌외벽의 표면을 하얀 가루로 만드는 백화현상에까지 관련성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