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RELEVANT TOPICS 84

목조주택 바닥재의 변화

요즈음에는 집의 기본골격을 나무로 지은 전원주택이나 단독주택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사실 뼈대만 나무로 만들어서 짓기 때문에 외장재로 단정하게 마무리해 놓으면 이 집과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관련된 사람이외에는 이 집이 목조주택인지 철근콘크리트주택인지 아니면 스틸하우스인지 구별하기가 쉽지않다. 이러한 형태들의 주택들은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 가장 친환경적인 목조주택의 아쉬운 점을 굳이 뽑는다면 습기에 다소 약하고 소음문제가 아닐까한다. 특히 목조주택을 새로 짓는 과정에서 빗물에 무방비로 노출이 된다면 하자가 발생할 확률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시공과정에서 빗물에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약간의 노출은 잘 건조만 되다면 별다른 문제의 발생가능성은 적어진다. 또한 ..

아파트의 욕실층간소음 해결대안은?

지난 주 제주도 출장주택검사 후 남양주에 있는 집에 귀가해서 생활하고 있다. 비록 아파트이지만 시내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천마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어서 조용하고 주위가 나무숲으로 빽빽하게 둘러싸여 있는 환경이다. 이 글을 올리고 있는 작은 방 창문 너머로 짙은 녹색으로 변해가고 있는 인근 수목원의 모습이 보인다. 경치가 좋다. 시끌벅적한 인근지역 시내 아파트를 떠나서 7년 전 이 아파트로 이사를 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윗집 꼬마가 보통의 개구장이가 아니다. 한마디로 날아다닌다. 코로나 때문에 학교에 가지 않고 있어서 날아다니는 시간이 더욱 늘어났다. 이사 후 지난 몇년 동안은 집에 있는 시간이 그다지 많지 않았고 윗 집이 이사 온 첫날부터 개구장이 꼬마로 인해서 층간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많은 ..

적절한 집터 다지기

미국의 파인홈빌딩이라는 주택관련 잡지에 나와있는 적절한 집터다지기 관련기사의 내용을 발췌해서 정리해본다. 우리주변에서 새로운 주택을 짓기위해서 집터 다지는 모습을 보고있으면 대부분의 경우 집터를 어느정도 수평으로 맞춘 후 포크레인의 궤도가 왕복하면서 버킷으로 찍어 누른 후 롤러를 이용해서 작업을 마무리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우리는 당연히 그렇게하는 것이 정석이라고 여겨왔지만 집터를 적절하게 다지기 위해서는 20 ~30cm 정도의 층이 지도록 여러번 나누어서 롤러작업을 하는것이 위 그림처럼 적절한 집터 다지기라는 것이다. 그렇지않으면 되메운 층이 느슨해져서 미래에 지반침하가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고 이는 곧 주택의 기초뿐만 아니라 구조재등과 연결된 주택 이곳저곳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유리창과 에너지효율성

4월이 가까워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완연한 봄이 왔다고는 느껴지고 있지 않다. 확실히 사계절이 뚜렷했던 예전과는 상황이 많이 달라진것 같다. 미디어 이곳저곳에서 떠들던 지구온난화의 영향 때문인지 계절이 크게 겨울과 여름으로 양분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패시브하우스, 그린하우스, 에너지제로 하우스 등 주택의 친환경 그리고 에너지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 선결과제가 되고 있는 모습이 요즈음 주택시장의 현주소다. 업그레이드 된 에너지 효율성을 무진장 강조하고 있는 신축주택 뿐만 아니라 기존의 주택들도 에너지효율성 관련해서 새롭게 유리창을 포함한 내부 리모델링이나 인테리어공사가 활성화 되고 있는 것 같다. 이 주택의 에너지효율성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는 있고 문제가 될 수..

모세관 작용과 염분

전세계적으로 건축디자인과 건설 그리고 건축원리와 작용에 관련된 문제예방 및 솔루션 제공으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빌딩사이언스 코퍼레이션(BSI)의 연구자료 중 모세관 작용과 염분에 대한 내용을 발췌해서 전한다. 대부분 통기초를 하는 우리나라의 상황과는 약간 다를 수 있겠으나 기본원리는 같다고 볼 수 있다. 물은 그 자체로 충분히 많은 문제를 야기하지만 염분이 더해 진다면 특히 다공성 물질과 관련해서는 완전히 다른 수준으로 돌변한다고 한다. 단순히 다공성 물질은 모세관 흡입만으로 인해서 먼 거리의 물을 흡수 할 수 있다. 수분이 모세관 작용에 의해서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은 일들만 일어 날 수 있다. 가장 작은 구멍 중 일부는 나무, 콘크리트, 모르타르 및 벽돌에서 찾을 수 있다. 콘크..

Denfensible Space Zones

DEFENSIBLE SPACE ZONES ? 디펜시블 스페이스 존이 의미하는 것은 바로 화재로 부터의 안전거리지역를 의미한다. 얼마전까지 뉴스를 통해서 접할 수 있었고 우한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건이 터지기전까지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오스트레일리아 산불, 작년 봄 강원도 속초, 양양, 강릉, 동해지역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것과 같은 산불로 부터의 안전거리지역말이다. 사실 이 안전거리지역이 의미하는 것은 화재발생시 안전하다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신속하게 집을 탈출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는 것이다. 대형산불이 발생하면 불씨와 타다만 재가 적어도 수백미터는 날아간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강풍까지 동반한다면 그야말로 찰나의 순간에 인근지역이 쑥대밭이 되버리기 쉽상이다. 실제로 지난 오스트레일리아와 강원도 ..

Vapor Diffusion Port

북미에서 Vapor diffusion port는 Vapor diffusion vent, diffusion vent, vapor vent 등으로 호칭되고 있다. 거의 릿지벤트와 같은 형태인데 차이점은 릿지벤트를 위해서 지붕의 바탕재를 양쪽으로 잘라낸 부분 위쪽을 투습방수지로 커버한다는 것이다. 이 베이퍼 디퓨전 포트의 핵심은 기밀성이다. 따라서 소핏벤트(Soffit Vent)가 존재한다면 소핏벤트가 기능을 못하도록 꼼꼼하게 막아버려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단어의 뜻 그대로 공기의 흐름이 아니라 확산작용에 의한 방법으로 천장에 침투한 습기를 외부로 내보내서 천장과 지붕재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한다는 것이다. 수년동안 빌딩사이언티스트들은 소위 언벤티드 애틱(Unvented Attic) 즉 벤트가 없는 지..

건물이 무너지는 21가지 이유

겨울비 치고는 제법 많은 양의 비가 일요일에 내렸고 어제와 오늘은 영하의 기온을 유지하고 있어서 휴무를 취하고 있다. 덕분에 간만에 관련서적을 읽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건물이 무너지는 21가지 이유'의 저자는 건축가로서 실제 건설현장의 경험 그리고 과학적, 공학적 지식을 토대로 건물안전, 건물붕괴 원인, 건물구조에 대한 원리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건축업에 관련이 있고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 번 정도 읽으면 좋은 내용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