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하자관련 진단 및 검사전문

단열 누수 결로 곰팡이 스타코하자 등 상담환영

HOME INSPECTION/실내공기의 질·건강 54

겨울철 실내환기는 자주 시키고 계신지요?

일단 겨울철이 되면 기본적으로 날씨가 춥기 때문에 사람들이 환기를 잘 시키지 않는 경향이 짙어지는 것 같다. 단열성과 기밀성이 부족한 연식이 있는 집의 경우에는 겨울철 황소바람의 주요한 통로가 될 수 있는 창문주위를 비닐을 이용해서 가려놓은 곳들도 적지 않을 듯 하고 아니면 창문에 뽁뽁이를 붙여 놓든지 말이다. 한마디로 겨울철 월동준비라고 한다면 창문주위의 틈새나 출입문의 주변부위 등 공기가 들락거릴 수 있는 부위는 모조리 막아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듯 하다. 최근 몇년 사이에 지어져서 상대적으로 단열성과 기밀성이 높아진 아파트들의 경우에는 겨울철 실내환기를 위해서 아마 환기시스템을 주로 사용할 듯 하다. 이 환기시스템도 해당 아파트에 따라서 공급환기장치가 설치된 경우나 아니면 전열교환기가 설치된 ..

아파트 환기장치 특성을 알아야하는데...

최근 몇년 새 지어진 아파트들은 환기장치가 의무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이유는 당연히 좋지 못한 실내공기의 질을 신선한 외부의 공기로 바꿀 필요성이 있고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호흡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로 하늘빛이 잿빛으로 가려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교환시켜야 하는 것이다.    한해의 마지막인 12월에 접어들기 시작하고 있는 요즈음 일교차가 매우 크다. 낮에는 햇살이 다소 뜨겁게 느껴질 정도로 따스하지만 해가 지기 시작하고 밤이 되면 온도가 많이 낮아지고 새벽녘에는 더욱 온도가 내려간다. 그 이유는 건조한 대기로 인해서 방어막의 기능을 하는 구름이 없어서 하늘로부터 냉각복사가..

그런데 실내습도관리가 왜 필요한가요?

무더운 날씨와 높은 습도로 인해서 불쾌지수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여름철이다. 쾌적한 실내생활을 위해서 적절한 실내습도관리가 필요하다는 말은 여기저기서들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그래서 실내습도관리가 필요하구나하고 온습도계 몇개 장만해서 방마다 혹은 따로 구분된 공간마다 하나씩 배치시켜 놓은 집들도 있을 것이다. 적절한 실내습도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실내습도의 농도가 적정치를 넘어서면 집자체에 좋지않은 영향을 끼치지 시작하기 때문이다. 집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가지 건축재료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한 곳에 고인 물은 썩듯이 습기가 가두어지게 되는 조건이 만들어지면 이곳저곳에서 곰팡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고 그래서 이러한 조건이 오랜기간 동안 방치가 되면 악취와 호흡기관련 건강문제가..

일반적인 실내생활에서도 엄청난 습기가 발생하는군...

우리는 하루중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다. 물론 직업의 특성상 야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이분들도 일과를 마치거나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실내로 들어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은 성별, 나이, 체질, 병력, 건강상태 등 여러가지 관련요소를 배제하더라고 누구에게나 가장 기본적으로 중요한 요소다. 우리는 깨끗한 공기를 통해서 호흡해야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내공기질을 오염시키는 요소들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하이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라돈,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등 여러가지 위해물질들이 있다는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어서 이러한 물질의 노출에 대해서 경계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반면에 실내습기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

전열교환기와 아파트 환기장치

근래에 지어진 아파트에서는 환기장치가 기본으로 설치가 되고 있는 상황이고 2018년 7월부터 주택법의 건강친화형 주택건설 기준이 새롭게 시행되고 있어서 덩달아서 주방후드와 욕실팬의 성능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적지않은 사람들이 전열교환기와 일반적인 아파트 환기장치에 대한 구분을 어려워하고 있는 듯 하다. 사실 대부분의 아파트 발코니 천장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네모난 상자는 공급 환기장치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전열교환기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당연히 가격 차이도 클 듯 하다. 전열교환기는 기본적으로 외부로 연결된 관이 두개가 있어야 한다. 외부공기가 들어오는 관과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나가는 관이 이렇게 두개의 관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관을 통해서 들어온 외부의 신선한..

어린이 시설관련 페인트 납함유 기준강화!

환경부에 의하면 '환경보건법 시행령' 개정안을 3/31~ 5/10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 미래의 꿈나무가 될 어린이들과 관련된 주요항목을 예로 들자면 놀이터처럼 어린이가 사용하는 시설에 사용하는 페인트(도료), 마감재 납 함량 기준이 미국과 일본의 수준으로 강화된다. 남자의 정자감소로 인한 중성화 등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프탈레이트류 함량 기준이 새롭게 추가되어 마련된다고 한다. 개정안에 따라 어린이 활동 공간에 사용하는 도료나 마감재에 함유된 납 관리 기준(함량)이 현행 0.06%(600ppm)에서 0.009%(90ppm)로 강화되고 프탈레이트 7종(DEHP, DBP, BBP, DINP, DIDP, DnOP, DIBP)의 함유량은 0.1% 이하로 새롭게 추가된다고 한다..

자연이 좋은 것은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땅덩어리가 작아서 인구밀도가 높은 편이다. 모두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그 내막을 들여다보면 대부분의 인구가 서울과 수도권에 아니면 지방 대도시나 중소도시 주변에 집중적으로 살고있다는 것이다. 이유는 당연한 듯 하다. 직장, 학교, 은행, 마트, 병원 등 우리의 사회생활과 직간적접으로 관련이 있는 시설들이 거의 대부분 이러한 곳에 위치하고 있기때문이다. 집을 구하는 기준도 주변 학교, 버스정거장, 지하철, 기타 편의시설 등이 거의 1순위다. 물론 가족 구성원의 특성에 따라서 주요순위는 변경 될 수 있을 듯 하다. 이것저것 아니고 집안에서 목소리가 가장 큰 사람이 왕인 경우도 있을 듯 하다. 저멀리 뒤편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많겠지만 말이다. 대도시의 경우 근처에 역을 끼고 있는 경..

사람들이 하도 라돈, 라돈이라고 해서...

사람들이 하도 라돈(Radon) 노래를 불러서 라돈에 대해서 자료와 정보를 좀 찾아보았다. 우선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들어가서 관련자료를 좀 찾아보았다. 우라늄과 라듐에서 발생되는 기체라고 하는데 방사선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흡연자의 경우는 적정수준 이상의 라돈흡입시 폐암발생율을 더욱 높인다고 하니 주의가 요망된다. 이참에 쉽지는 않겠지만 금연도 좋을 듯 싶다. 이 기체의 특성이 알려지게 된 계기가 1898년 그 유명한 퀴리부인의 연구로 부터라고 하니 신진세력은 아닌 듯 하다. 국내에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란 것은 2018년 음이온 침대 사건이후 부터 인 것 같다. 그전까지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 존재와 위험성이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이 사건 이후로 라돈의 위험과 유..

실내 공기는 과연 깨끗할까?

하여간 이웃을 잘 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지 도움은 커녕 적어도 피해는 덜 받을 수 있는 것 같다. 다름아닌 황사로 인해서 해마다 피해를 입고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약 이틀동안 전국의 하늘이 황사먼지로 뒤덮여서 희뿌옇게 보였다. 최악의 황사먼지로 미세먼지농도와 관련된 각종 기록들이 갱신된 듯 하다. 다름아닌 황사로 인해서 해마다 피해를 입고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약 이틀동안 전국의 하늘이 황사먼지로 뒤덮여서 희뿌옇게 보였다. 최악의 황사먼지로 미세먼지농도와 관련된 각종 기록들이 갱신된 듯 분위기다. 덕분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창문과 문을 꼬~옥 걸어 잠그고 외출이나 외부활동을 자제하는 모습인 듯 하다. 그런데 과연 실내공기의 질은 문제가 없는 걸까? 대부분의 가정이나 실내에서는 깨끗한 실내공기의..

공기청정기도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중국에서 건너온 황사의 영향으로 어제와 오늘 전국의 하늘이 누렇다. 차라리 안개라면 좋으련만 황사다. 전국의 미세먼지 수치가 500단위를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고 일기예보에 의하면 오늘 군산은 거의 1000단위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아마 1000정도면 하늘을 구별하기 힘들 정도일 것이다. 마치 지구의 미래를 암울하게 그린 미래SF영화의 한 장면이 실제로 현실에 연출되고 있는 듯 하다. 덕분에 실내공기와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고 광고하고 있는 공기청정기 관련 수요는 더욱 팽창할 듯 하다. 그런데 이러한 시대의 흐름속에서 거의 절대적으로 추앙을 받고있는 공기청정기가 과연 관련업계에서 광고하는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다소 의구심이 든다. 사람의 편의를 위해서 만들어진 것..